[국정자원 화재, 정부시스템 마비]장애복구에 속도…분진제거·이관준비

1 month ago 11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흔적. 27일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 5층 전산실 창문이 리튬이온 배터리 폭발 화재로 불에 타 있다. [사진=연합뉴스]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흔적. 27일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 5층 전산실 창문이 리튬이온 배터리 폭발 화재로 불에 타 있다. [사진=연합뉴스]

정부가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로 인한 행정정보시스템 장애복구 작업에 속도를 낸다.

행정안전부는 1일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현장상황실에서 김민재 중대본 1차장과 하정우 AI미래기획수석이 행정정보시스템 장애복구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김민재 중대본 1차장은 하정우 수석과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원장들과 논의해 두 연구소의 전문인력을 복구 현장에 지원하기로 결정하고 ETRI 인력 4명을 즉시 파견했다.

화재로 인해 분진피해를 입은 5층 전산실의 분진제거에 더욱 속도를 높인다.

분진 제거는 장비 분해, 분진 제거, 재조립 및 배치로 이뤄지는데 이는 장비제조사와 제거업체가 함께 담당한다.

장비 분해 속도를 고려해 전국 서버 전문 청소업체를 최대로 투입하고, 분리-제거-테스트 과정을 순차적이면서도 병렬로 진행, 분진 제거 역시 당초 2주보다 절반을 단축한 10월 5일까지 완료할 예정이다.

화재로 녹아내린 전원장치도 빠르게 수리해 복구작업에 속도를 더한다. 보통 1개월 소요되는 전원연결을 10일 내로 단축하여, 10월 11일까지 완료한다.

데이터 백업 및 이관도 최대한 효율적으로 진행한다.

직접 피해를 입은 7-1전산실 내 시스템들은 대구 센터내 민관협력형 클라우드(PPP) 구역으로 이전한다. 대구센터 클라우드서비스 사업자의 인력을 추가 보강해 투입하고, 추가 투입인력은 전국의 경험 많은 기술자를 섭외하며, 부족한 예산은 예비비를 투입한다.

김민재 1차장과 하정우 수석은 무엇보다 복구 속도가 최우선이라는 공감대 하에, 필요 인력·예산의 즉각적인 지원을 약속하였으며, 안정적인 작업을 보장하기 위해 충분한 개발자 확보와 교대 작업을 주문했다.

행정안전부는 복구에 속도를 올림과 동시에 국가인공지능전략위원회 'AI인프라 거버넌스 혁신 태스크포스(TF)'와 이와 같은 장애가 재발하지 않도록 근본적인 대책을 수립해 나갈 예정이다. TF는 기반시설에 대한 철저한 조사와 장단기 대책 등 AI인프라 운영구조 개선 방안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김지선 기자 river@etnews.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