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자원 화재, 정부시스템 마비]여전히 배터리 화재 위험 노출…20년 노후시설 대책 必

1 month ago 13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현장.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현장.

정부 주요 시스템을 관리하는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대전 본원에 화재가 발생한 가운데, 화재는 진압됐지만 건물 구조상 여전히 배터리 화재 위험에 노출된 만큼 후속 대처가 중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26일 저녁 국정자원 대전본원 5층 '제7전산실'에서 발생한 화재의 직접적 원인은 '리튬이온배터리'로 추정된다.

리튬이온배터리로 인한 화재는 2022년 10월 SK AX 판교 데이터센터 화재 때 문제된바 있다. 당시 무정전전원장치(UPS)용 리튬이온배터리에서 화재가 발생, 불길을 쉽사리 잡지 못하면서 데이터센터에 입주했던 '카카오톡' 서비스 장애가 지속된바 있다. 데이터센터 내 배터리 문제에 경종을 울리는 사건이었다.

이번 국정자원 화재 역시 리튬이온배터리 교체 작업에서 발생한 것으로, 화재 발생 후 진압까지 10시간 가량이 소요되는 등 난항을 겪었다.

리튬이온배터리는 특성상 한 번 화재가 발생할 경우 위험이 커질 수 밖에 없어 서버 등 주요 시스템 장비와 한 공간에 두는 것을 지양한다.

실제 과학기술정보통신부도 SK AX 판교 데이터센터 화재 이후 배터리실과 전기설비실 분리, 배터리 간 적정 이격거리 확보 등 '집적정보통신시설 보호지침'을 개정·시행한바 있다.

국정자원 역시 리튬이온배터리 화재 가능성에 대비해 4단계에 걸쳐 배터리 설비를 지하 별도 공간으로 이전하는 작업을 진행중이었다.

총 두 차례에 걸친 앞선 과정에서는 문제가 없었으나, 이번 세 번째 작업 과정에서 예기치 못한 화재가 발생했다는게 국정자원측 설명이다.

국정자원에 따르면 현재 대전 본원 내 4분의 1 가량 시스템은 전산실 내 배터리가 공존한다. 서버 공간과 별도 거리를 둬 벽 근처로 분리 조치했지만, 이번처럼 예상치 못한 화재 발생시 피해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전문가들은 이번 화재 대응과 함께 현재 남아있는 공간에 대한 배터리 격리 조치와 함께 노후화된 시설에 대한 대비책 마련도 서둘러야 함을 강조한다.

국정자원 대전본원은 20년 전 처음 설립 당시 KT 연구개발용 건물을 임차했다. 전산실용 건물이 아니다보니 배터리 화재 등에 대한 대비가 부족했다. 비교적 최근 오픈한 국정자원 대구센터의 경우 배터리실 등은 전산실과 별도 층에 분리돼, 배터리로 인한 화재 발생시 피해 확산을 줄이도록 설계됐다. 근본적 대비를 위해 대전본원 전반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는게 전문가들 지적이다.

한 업계 전문가는 “노후화된 건물로 인해 화재뿐 아니라 각종 재난·재해에 취약할 수 있는 만큼 이번 일을 계기로 국정자원 인프라 전반을 재정립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지선 기자 river@etnews.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