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자원 화재, 정부시스템 마비]시스템 복구율 17.3%…새올시스템으로 '국민신문고' 대체

1 month ago 14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흔적. 27일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 5층 전산실 창문이 리튬이온 배터리 폭발 화재로 불에 타 있다. [사진=연합뉴스]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흔적. 27일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 5층 전산실 창문이 리튬이온 배터리 폭발 화재로 불에 타 있다. [사진=연합뉴스]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로 가동이 중단된 647개 정부 정보시스템 중 112개(17.3%)가 복구됐다.

시스템 마비 일주일째 복구율은 10%에 머무르는 가운데, 정부는 복구 속도를 높이기 위해 예비비를 투입하는 등 전문 인력을 총동원해 정상화에 속도를 낸다는 입장이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2일 오전 10시 기준 복구를 마친 시스템은 소방청의 119안전신고, 행정안전부 국가기록포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전자민원센터 등 112개라고 밝혔다.

또 국민신문고 서비스 중단으로 국민 불편이 초래됨에 따라 과거에 썼던 시·군·구 새올시스템의 온라인 상담 창구를 복원해 지자체별 온라인 민원상담 서비스를 재개하도록 했다고 전했다.

윤호중 중대본부장(행안부 장관)은 이날 중대본 회의에서 “현재의 복구 속도가 국민 눈높이에 미치지 못 하고 있다는 점을 엄중히 인식하고 있다”고 말했다.

윤 본부장은 이어 “필수적인 행정 서비스부터 차질 없이 운영될 수 있도록 최우선순위를 두고 복구를 진행하고 있다”며 “복구 속도를 높일 수 있도록 인력과 예산을 총동원하기 위해 민간 전문가와 연구기관 인력까지 현장에 투입하는 조치를 취했다”고 설명했다.

행안부는 전날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현장상황실에서 김민재 중대본 1차장과 하정우 AI미래기획수석이 행정정보시스템 장애복구 방안을 논의했다.

김민재 중대본 1차장은 하정우 수석과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원장들과 논의해 두 연구소의 전문인력을 복구 현장에 지원하기로 결정하고 ETRI 인력 4명을 즉시 파견했다.

윤 장관은 이날 오후 서울서부고용노동지청과 서울종합방재센터, 서울남대문경찰서를 잇따라 방문해, 추석 연휴 기간 행정 서비스와 국민안전 대책을 점검할 예정이다.

현대인 기자 modernman@etnews.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