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자원 화재, 정부시스템 마비]부처별 대책본부 가동 등 대책 마련 착수

1 month ago 12
국가권익위원회 '국민신문고' 홈페이지 메인화면.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본원 화재로 시스템이 불가한 상황에 대한 정부가 공지가 이뤄졌다.국가권익위원회 '국민신문고' 홈페이지 메인화면.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본원 화재로 시스템이 불가한 상황에 대한 정부가 공지가 이뤄졌다.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대전본원 화재로 정부 시스템이 마비된 가운데 개별 부처가 대책본부 가동 등 대응책 마련에 착수했다.

부처별 가능한 선에서 중단된 시스템의 대체 서비스 마련를 추진하고 공공사업 개찰과 과태료 고지서 발송 등 시스템 마비에 따른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해 일정과 제도 적용을 연기 또는 연장하기로 했다.

각 부처는 공식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해 시스템 장애 상황에 대해 전파하고 불가능한 서비스, 달라지는 제도, 업데이트되는 상황에 대한 공지 등은 지속할 예정이다.

국가권익위원회는 위원회 내부 장애대책본부 가동에 들어갔으며 위원회 홈페이지와 공식 소셜네트워크(SNS)를 통해 국민신문고 서비스 중단 상황 등 대국민 안내에 나섰다.

국민신문고는 행정안전부가 관리하는 정부 대표 민원·제안 접수 시스템 중 가장 높은 보안등급 1등급으로 분류된 시스템이다. 재해복구(DR) 시스템 미비로 화재 이후 서비스가 중단된 상태다.

방송통신위원회는 위치정보사업 민원사무 대체 절차를 마련했다. 우선 수기 접수와 처리를 지원하고 향후 홈페이지 서버 복구 시 이상 유·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유지보수 대응을 준비한다. 자체 SNS를 통해 수기 접수와 등록신청 기간 연장을 안내했다.

중소벤처기업부는 '기업마당'과 '중소벤처24' 등 중소·벤처기업이 필요로 하는 주요 시스템 관련 대체 서비스 주소를 공지했다. 차관 주재로 비상대책 마련 회의도 진행했다. 환경부는 위기상황대응반을 운영하고 시스템별 장애·조치 상황 긴급점검회의를 개최했다.

조달청은 조달청장 주재로 회의를 열고 백업센터 전환 시 문제점과 대응방안을 검토했다. 특히 추석 전 개찰 건을 모두 연기 공고 조치하는 등 업체의 시스템 접속량 감소를 유도한다는 계획이다.

또 '하도급지킴이' 서비스 중단에 따른 추석 전 하도급 대금 미지급 상황을 사회 혼란 우려를 고려, 유휴 장비를 활용한 백업센터 운영환경을 사전에 준비한다. 하도급지킴이는 2등급 정부 시스템으로 분류돼 백업센터 운영시스템에서 제외돼 있다.

경찰청은 과태료·법칙금 고지서를 납부 가능 시점까지 발송 연기하고 기일 연장 등 공지사항을 게재했다. 질병관리청은 위기경보 경계 등급 발령과 위기상황대응본부를 구성했고 자체 전산센터에 임시 내부 포털과 메신저 등을 구축한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위기경보를 심각단계로 상향하고 중수본 구성과 운영, 기상청은 선진예보시스템과 전자민원 등 장애 대체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박종진 기자 truth@etnews.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