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자원 화재, 정부시스템 마비]리튬이온배터리 열 폭주 대응 인프라 점검해야

1 month ago 13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흔적. 27일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 5층 전산실 창문이 리튬이온 배터리 폭발 화재로 불에 타 있다. [사진=연합뉴스]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흔적. 27일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 5층 전산실 창문이 리튬이온 배터리 폭발 화재로 불에 타 있다. [사진=연합뉴스]

전문가들은 이번 화재를 계기로 리튬이온배터리 열폭주에 대응하는 데이터센터 인프라 전반을 점검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행정안전부가 27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진행한 브리핑에 따르면, 이번 화재는 국정자원(대전)의 무정전전원장치(UPS) 배터리를 지하로 이전하는 도중 전원이 차단된 배터리 한 개에서 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서버와 전기 설비를 분리해 화재 피해를 줄이기 위한 작업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했다.

화재가 발생한 5층 전산실은 화재에 취약했다. 중요 전산 정보가 담긴 서버와 전기 설비가 같은 공간에 있어, 서버가 직접 피해를 입었다. 게다가 서버와 배터리의 간격은 60cm, 서버 간 간격은 1.2m에 불과해 피해를 더욱 키운 것으로 알려졌다.

(대전=연합뉴스) 신현우 기자 = 28일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인해 불에 탄 리튬이온 배터리가 소화수조에 담겨 있다. 2025.9.28 nowwego@yna.co.kr(대전=연합뉴스) 신현우 기자 = 28일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인해 불에 탄 리튬이온 배터리가 소화수조에 담겨 있다. 2025.9.28 nowwego@yna.co.kr

전문가들은 서버실과 배터리실이 한 공간에 있을 경우엔 최소한의 소방시설을 설치하고, 두 설비를 다른 공간에 두는 구조로 바꿔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공하성 우석대 소방방재학과 교수는 “리튬이온배터리의 화재를 막기 위해 배터리 모듈별로 불연성 차단벽을 설치해 2시간 정도는 불을 견디게 해 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국정자원이 진행하던 서버실과 배터리실 공간 분리 작업은 바람직하지만, UPS 배터리를 지하 1층에 두는 것보다는 지상에 두고 접근성을 높이는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배터리 열폭주를 막을 소방시설에 대한 보완도 언급됐다.

박준현 스탠더드시험연구소 대표는 “정부는 리튬이온 배터리 화재 등에 대응하기 위해 최근 몇년 새 전기저장시설의 화재안전성능·기술기준과 한국전기설비 규정 등을 개정하면서 리튬이온배터리 등 이차전지에 대한 소방설비 마련을 의무화했다”며 “그러나 법이 시행되기 이전에 설치된 시설들은 법의 소급 적용이 되지 않아 법의 사각지대가 있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이번에 국정자원 화재에서 불이 난 리튬이온 배터리는 2014년 도입한 제품으로 알려졌다”며 “국정자원을 비롯한 국내 데이터센터들의 리튬이온배터리에 대한 소방시설 인프라 등 점검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현대인 기자 modernman@etnews.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