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6일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전산실에서 배터리 교체 중 리튬이온 배터리 폭발로 인한 화재로 정부 업무시스템 647개의 가동이 중단됐다. 27일 서울지하철 1호선 종각역에 설치된 무인민원발급기에 서비스 일시중단 안내문에 표시되어 있다. 이동근기자 foto@etnews.com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대전 본원 화재로 정부 시스템 이용이 중단된 가운데, 주요 시스템 중 백업(시스템 이중화·DR) 시스템을 통해 정상 가동된 사례는 없다.
2년 전 정부 전산망 장애 사고 후 재난 발생 시 중단없는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던 정부 대책은 전혀 지켜지지 않았다.
27일 600여개에 달하는 정부 시스템이 전날 발생한 국정자원 대전 화재로 인해 가동이 멈췄다.
당초 화재가 발생한 구역(7전산실)에 설치된 70여개 시스템만 직접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됐다. 하지만 배터리 폭발로 인해 센터 내 온도가 급상승하고, 열기를 식혀줄 항온항습기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자 정부는 대전 센터 전체(647개 시스템) 가동을 중단시켰다.
정부 주요 시스템은 재난 등 장애로 인해 가동이 중단될 경우 백업 시스템을 통해 서비스가 이뤄져야 한다. 이는 그동안 정부가 수차례 강조해 온 '끊김없는 대국민 서비스 제공'과 맥을 같이 한다.
특히 정부는 2년 전 정부 전산망 장애 발생 후 지난해 초 발표한 '디지털행정서비스 국민신뢰 제고 대책'에서 “1·2등급 정보시스템은 네트워크, 방화벽 등 모든 장비에 대한 이중화를 진행하여 무중단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전한바 있다.
그러나 이번 화재 영향을 받은 70개 시스템 상당수가 1·2등급 시스템임에도 화재 발생 후 20시간 가까이 지난 현재까지 정상 작동되는 시스템은 없다.
정부는 '배터리 화재'라는 특수 상황을 이유로 내세우지만, 화재뿐 아니라 지진 등 어떤 재난 상황에서도 빠른 시간 내 시스템을 구동하기 위해 대비하는 것이 DR 시스템이다. 사실상 재난에 무방비 상태였음을 2년 만에 다시 입증한 셈이다.
이와 관련 이재용 국정자원 원장은 이날 오전 진행한 브리핑에서 “2년 전 계획에 따라 DR을 준비하고 있지만 시스템별 적용 범위 등이 다른 상황”이라면서 “실시간 백업을 위한 시범사업도 진행 중”이라고 설명했다.
업계 관계자는 “만약 민간에서 동일한 사고가 발생해 20시간 넘도록 서비스를 아예 사용하지 못하게 됐다면 정부는 엄청난 질책을 했을 것”이라면서 “여러 요인으로 사고는 발생할 수 있지만 중요한 것은 이후 신속한 대처인데, 현재 정부는 대국민 서비스 중단에 대해 아무런 해결책을 제시하는 못하는 답답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김지선 기자 river@etnews.com

1 month ago
13




![[이런말저런글] 사약은 하사하는 약, 노점은 이슬맞는 점포?](https://img5.yna.co.kr/etc/inner/KR/2025/11/07/AKR20251107045500546_01_i_P4.jpg)











![닷컴 버블의 교훈[김학균의 투자레슨]](https://www.edaily.co.kr/profile_edaily_512.png)
English (U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