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자원 화재 2주, 복구율 20%대…정부 “시스템별 최적 복구 방식 마련할 것”

1 month ago 6
국정자원 대전 본원 입구. 사진=연합뉴스국정자원 대전 본원 입구. 사진=연합뉴스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대전본원 화재 발생 2주가 되도록 시스템 복구율이 30%를 넘지 못하고 있다. 당초 예상했던 것보다 복구 작업에 난항을 겪으며 최종 복구까지 시일이 더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는 시스템별 최적 복구 방식을 마련해 정상화 속도를 높인다는 방침이다.

9일 정부에 따르면 국정자원 대전 화재로 인해 중단된 서비스 709개 가운데 193개(9일 오전 6시 기준)가 복구(복구율 27.2%)됐다. 국정자원 통합운영관리시스템(nTOPS) 데이터 복구가 완료됨에 따라 전체 시스템 수는 기존 647개에서 709개로 정정됐다.

정부는 지난달 26일 발생한 국정자원 화재가 완전 진압된 27일 저녁부터 시스템 복구에 주력했다.

특히 추석연휴 기간을 골든타임으로 잡고 지난 일주일간 960명에 달하는 인력을 투입했다.

이 기간에 총 54개 시스템이 복구됐다. '온나라 문서'와 '온메일' 시스템이 복구돼 중앙부처와 지자체 문서 업무가 정상화됐다. 기업지원플러스, 연명의료정보처리시스템, 인터넷 우체국(택배), 1365기부포털, 농림어업총조사 포털 등 대국민 시스템도 계속해서 복구되고 있다.

당초 예상보다 복구 속도가 더딘 이유는 전체 시스템 가운데 절반 가량(46%·330여개)이 몰린 5층 전산실 복구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이번 배터리 화재 직접 피해를 입은 구역인 5층 전산실 내 7, 7-1, 8 구역 가운데 7-1 구역은 전소됐다. 7·8구역 역시 분진·열기 등으로 인해 직·간접 피해를 입었다.

분진이 최종 제거돼야 전선 복구 등을 통해 전력 공급이 가능하며, 이후 순차적으로 시스템을 켜 최종 복구 여부 등을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분진 제거의 경우 장비 부품을 일일이 해체해 특수 용제로 세척한 후 다시 조립하는 과정을 거쳐야 해 작업 속도를 높이는데 한계가 있다.

이에 정부는 연휴 기간 동안 5층 분진 제거와 기술 지원에 160여명의 전문 인력을 배치, 총력을 기울였다. 여전히 7, 7-1구역은 분진이 제대로 제거되지 않았다. 그나마 8구역 분진 제거가 완료돼 전력 공급 등을 거쳐 11일부터 재가동 할 것으로 예상된다.

2~4층의 경우 피해가 상대적으로 적지만 5층 전산실과 연계된 시스템이 많다. 5층 복구에 따라 2~4층 내 타 시스템 역시 복구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추석 연휴가 끝나더라도 정부의 복구 작업은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다.

정부는 5층 복구에 속도를 높이는 한편, 가장 피해가 심했던 7, 7-1 구역 시스템은 국정자원 대구센터 내 민관협력형(PPP) 클라우드뿐 아니라 대전센터 내 공간을 활용하는 방안 등 시스템별 최적 이전·복구 방안을 다시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윤호중 행안부 장관은 “행정정보 시스템을 조속히 정상화하기 위해 시스템별 복구 여건을 면밀히 검토해 최적 방식으로 복구를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김지선 기자 river@etnews.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