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RISE 수행대학 50개교 최종 선정

1 month ago 11
경기도청 전경.경기도청 전경.

경기도가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수행대학 50개교를 최종 선정했다.

경기도는 지난 29일 도청에서 제3차 경기도RISE위원회를 열고, 28개 대학·컨소시엄(단독 16개, 컨소시엄 12개) 등 총 50개교(일반대 25개, 전문대 25개)를 수행대학으로 확정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는 도내 전체 75개 대학의 67%에 해당한다.

RISE는 교육부가 대학 지원의 행정 및 재정 권한을 지자체에 위임해 지역과 대학의 동반성장을 추진하는 정책이다. 경기도는 올해 636억원 규모 예산을 투입해 미래성장산업 인재 양성과 지역사회 상생 발전 기반을 구축할 계획이다.

경기도 RISE 사업은 '지산학 협력으로 동반성장하는 글로벌 혁신 수도, 경기도'라는 비전 아래 △경기 G7(반도체, 미래차, 바이오, 인공지능(AI)·디지털, 첨단소재·부품, 에너지·환경, 항공·우주) 미래성장산업 육성 △지역혁신클러스터 육성 △생애-이음형 평생직업교육 혁신 △지산학 상생·협력 동반성장 등 4대 프로젝트와 16개 단위 과제로 구성했다.

선정된 대학은 △미래성장산업(G7) 선도인재 양성 △판교+20α 스타트업 육성 △지역기반산업 특화 전문인재 양성 △고교-대학-산업 연계 산학일체 교육 △경기북부 성장동력 허브 구축 등 다양한 과제를 수행한다.

대학의 역량과 자원을 전략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선정 유형은 △미래성장산업 선도형 △지역클러스터 육성형 △평생직업교육 거점형 등 3가지로 세분화했다. 유형별로 일반대는 최대 40억원, 전문대는 최대 20억원, 평생직업교육 거점형 컨소시엄은 최대 15억원 사업비를 지원받는다.

경기도는 매년 총 636억원 사업비를 투입해 지역혁신과 상생발전의 선순환 생태계를 조성할 방침이다.

이성호 도 미래성장산업국장은 “수행대학 선정 과정에서 시·군 참여와 컨소시엄 유도를 통해 대학 간 협력 체계를 마련했다”며 “도내 대학이 지역과 산업, 혁신기관 등과 상생협력으로 지역혁신의 거점이 되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경기도와 경기RISE센터는 각 대학에 선정 결과를 개별 통보하고, 6월 중 이의신청 절차를 마무리한 뒤 RISE 사업의 5년간 여정을 시작할 예정이다.

수원=김동성 기자 estar@etnews.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