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인상이 국내 휴대폰 가격까지 밀어 올릴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애플과 삼성전자가 글로벌 균일가를 고수하고 있어 관세 인상으로 미국 내 휴대폰 판매가격이 오르면 전 세계 단말기값이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최근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애플이 오는 9월 출시할 예정인 신형 아이폰17 시리즈의 가격 인상을 검토 중이라고 보도했다. 애플은 매년 가을에 새로운 아이폰을 선보인다.
WSJ는 “애플의 가격 인상 움직임은 새로운 기능이 추가됐기 때문이 아니라 대중(對中) 고율 관세가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며 “중국에서 제조하는 아이폰값을 올리지 않으면 마진에 타격을 받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중국산 아이폰에 미국이 부과한 관세율은 20%다. 미국은 중국에 대한 관세율을 145%까지 높였다가 14일부터 90일 동안 한시적으로 10%의 기본 상호관세와 20%의 ‘펜타닐 관세’만 적용하기로 했다. 스마트폰에는 기본 상호관세도 없이 펜타닐 관세만 부과한다.
애플은 아이폰의 절반 이상을 중국에서 생산하고 있다. 통신업계 관계자는 “애플과 삼성전자 같은 글로벌 휴대폰 제조사들은 국가를 가리지 않고 비슷한 판매가를 유지해오고 있다”며 “관세로 인해 미국 판매가격이 오르면 한국에서도 더 비싼 값을 내야 한다는 것은 기정사실이나 마찬가지”라고 말했다.
삼성전자 상황도 다르지 않다. 미국이 베트남에 46%에 달하는 상호관세를 적용하기로 하면서다. 삼성전자 스마트폰 생산량의 약 50%는 베트남 북부 박닌 공장(SEV)과 타이응우옌(SEVT) 공장에서 책임지고 있다. 관세 협상 기간에 46%의 세율이 유예됐지만 현재 적용되는 관세율 10%도 가격 인상 압박을 줄 수 있다.
통신업계에서는 휴대폰 가격이 오르면 통신물가도 불안해질 것으로 우려한다. 단말기 가격이 통신물가에 포함되기 때문이다.
최지희 기자 mymasak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