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명희 기자국가인공지능(AI)전략위원회 산하 AI책임관 협의회가 지난 18일 공식 출범했다. 협의회 의장은 국가최고AI책임관(국가CAIO)인 하정우 대통령실 AI미래기획수석이 맡았다.
협의회는 국가 AI 대전환과 'AI 3대 강국' 달성을 책임질 정부 회의체다. 부처 간 AI·데이터 규제 논의, 효과적인 사업 기획, 예산 편성과 관리 지원, 범부처 협업 사업 발굴 등 국가 차원 AI 전략 추진의 구심점이다.
각 부처의 AI책임관은 차관급 또는 실장급이 맡아 부처별 AI 전략 수립과 이행, 데이터 기반 행정, AI 활용 전반에 대한 최종 책임을 진다.
지방자치단체의 경우 부시장 또는 부지사급 이상으로 지정하도록 돼 있다. 이는 국가 AI 전략이 단순한 기술 도입을 넘어 지자체와 중앙정부 간 정책을 연계하고, 지역별 특성과 산업적 요구를 반영해 구체화해야 성공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지자체에 있어 AI책임관 지정은 AI 인프라와 행정 역량을 동시에 끌어올리는 신호이자 실질적 투자 참여의 의미를 가진다. 협의회를 통한 정보 공유와 산업 혁신 방안 논의는 지역과 국가가 함께 성장하는 기반이 될 수 있다.
이미 주요 지자체는 앞장서 AI 행정 서비스를 도입하며 선도적 실험을 진행하고 있다. 특히 서울시는 AI 3대 강국 진입 지원을 위해 서울디지털재단을 서울AI재단으로 개편해, AI 기술 개발과 정책·산업 지원을 전담하도록 역할을 확대했다.
이처럼 지자체가 AI 전략을 적극 추진하면 지역별 특성을 반영한 창의적 AI 전략 추진도 가능해진다. 중앙부처는 국가 차원의 전략을 마련하고, 지방정부는 시민과 가장 가까운 현장에서 실행 중심의 정책을 구체화하는 체계가 갖춰진다.
AI 전략은 중앙정부 차원의 선언으로 끝나서는 안 된다. 정부와 지자체가 권한 있는 책임자를 중심으로 연계 체계를 갖출 때 지역과 국가가 함께 성장할 수 있다.
김명희 기자 noprint@etnews.com

1 month ago
10

















English (U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