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클라우드 장애 예측·대응 도구로 각광

1 month ago 10
AI 생성 이미지.AI 생성 이미지.

인공지능(AI) 기술이 클라우드 복잡성 증가에 따라 더욱 어려워진 장애 예측·대응 문제 해결사로 떠올랐다. AI 기반 클라우드 운영·관리 시장 주도권 확보를 위한 기업 움직임도 분주해졌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은 최근 연구개발(R&D) 사업 신규 과제로 '클라우드 장애극복을 위한 AI 어시스턴트 기반 운영·관리 자동화 기술개발' 과제를 공고했다. 복잡해지는 클라우드 인프라의 관리 비용 상승과 장애 대응 어려움 등 문제가 발생하면서, 자동화된 클라우드 운영·관리 기술이 필요하다는 게 과제 추진 배경이다.

이 과제는 클라우드 자원·인프라의 구성, 배포, 프로비저닝, 관리 등을 AI 어시스턴트 기술로 자동화하는 게 목적이다. 이를 통해 클라우드 운영·관리 비용 절감은 물론, 장애 발생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클라우드 기업들은 이 과제 수주에 높은 관심을 보인다.

한 클라우드 기업 관계자는 “대부분 기업들이 클라우드 환경을 구축해 이번 과제를 통해 개발하는 솔루션에 대한 수요가 높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다른 정보기술(IT) 기업 관계자는 “멀티 클라우드 도입, 데이터 증가 등으로 인한 클라우드 복잡성 증가뿐만 아니라, 작년 세계를 강타한 마이크로소프트(MS) 클라우드 장애 사태 등을 보며 기업들의 클라우드 장애 극복 방안 요구가 높아졌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기업들은 자체 솔루션도 개발하고 있다.

SK AX는 최근 자사 멀티 클라우드 관리 플랫폼(MCMP)에 AI를 접목했다. 최신 딥러닝 알고리즘을 활용해 고객의 클라우드 자원 사용 패턴을 분석해 클라우드 사용량을 예측하고, 최적화된 자원 활용 방안을 추천한다.

베스핀글로벌은 클라우드 운영·관리 자동화 솔루션 '헬프나우 오토MSP'를 개발, 사내에서 활용하고 있다. AI 기술을 바탕으로 클라우드 운영 프로세스를 자동화하고, 최적화된 워크플로우와 표준화 템플릿을 제공한다.

베스핀글로벌 관계자는 “헬프나우 오토MSP를 내부에 도입한 지 2달 만에 업무의 41%를 AI로 자동화했고, 클라우드 운영 관리팀의 업무 생산성은 70% 이상 향상되는 성과를 거뒀다”며 “오는 7월에는 이 솔루션을 외부 고객 대상으로 정식 출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현대인 기자 modernman@etnews.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