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호주 정부가 낮 시간대 3시간 무료 전기 제공 제도를 도입해 태양광 발전 혜택을 모든 국민에게 공유하려는 계획 발표
- 태양광 발전이 급증하면서 도매 전력가격이 낮거나 음수로 전환되는 시간대가 발생, 이를 소비자에게 직접 환원하는 구조
- ‘Solar Sharer’ 프로그램은 세탁기·식기세척기·전기차 충전 등 시간 조정 가능한 가전 사용을 낮 시간대로 유도
- 이 제도는 아파트 거주자 등 태양광 설치가 불가능한 가구에도 적용, 소비자 전원에게 동일 혜택 제공 예정
- 2025년 7월 퀸즐랜드·뉴사우스웨일스·남호주에서 시작해 2027년 전국 확대 예정, 전력망 안정화와 소비자 절감 효과 기대
호주의 태양광 발전 확대와 전력 구조 변화
- 호주는 세계에서 가장 일조량이 많은 지역 중 하나로, 전역에 걸쳐 높은 태양광 발전 잠재력 보유
- 과거 석탄 중심의 전력 구조였으나, 태양광과 풍력 발전이 급속히 확산되며 석탄·가스 비중 감소
- 이로 인해 전력 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감소와 대기질 개선 효과 발생
- 기후변화로 인한 고온·산불 증가 문제가 심화되는 가운데, 재생에너지 확대가 국가적 대응책으로 작용
태양광 발전의 공급 변동성과 가격 구조
- 전력 수요는 일반적으로 퇴근 후 저녁 시간대에 집중, 반면 태양광 발전은 정오 무렵 최대치
- 이로 인해 공급 과잉 시간대의 전력가격 하락 또는 음수 가격 현상 발생
- 호주는 배터리 저장 시스템과 풍력 발전을 통해 이러한 변동성을 완화 중
- 또한 시간대별 요금제(Time of Use) 를 통해 전력 사용을 수요·공급 곡선에 맞추는 방식 확산
‘Solar Sharer’ 프로그램의 주요 내용
- 정부는 도매 전력가격이 낮은 낮 시간대에 무료 전기 제공을 의무화하는 제도 추진
- 전력 소매업체는 하루 최소 3시간 무료 전력 공급을 모든 고객에게 제공해야 함
- 소비자는 세탁, 식기세척, 수영장 펌프 가동, 전기차 충전 등을 이 시간대에 맞춰 수행 가능
-
가정용 배터리 충전 후 피크 시간대 사용도 가능해, 전력망 부하 완화와 비용 절감 효과 기대
- 정부는 이 제도가 전력망 업그레이드 필요성 감소와 소비자 절약을 동시에 달성할 것으로 전망
적용 대상과 시행 일정
- 프로그램은 태양광 보유 여부와 관계없이 모든 가구에 적용
-
아파트 거주자 등 설치 불가능한 가구도 동일한 혜택을 받음
- 일부 전력 소매업체는 사전 협의 부족을 이유로 반발했으나,
기후변화부 장관 크리스 보웬은 “소비자 우선” 원칙을 강조하며 추진 의지 표명
- 제도는 2025년 7월 퀸즐랜드·뉴사우스웨일스·남호주에서 시범 시행 후,
2027년 전국 확대 예정
Electrek의 평가
- 호주는 태양광·배터리·V2G(차량-전력망 연계) 등 다양한 전력 혁신을 실험 중인 ‘자연 실험실’ 로 평가
- 이번 제도는 경제적 인센티브를 통한 소비자 행동 변화의 실질적 사례로 주목
-
단순한 가격 신호만으로도 전력망 효율을 높일 수 있음을 보여주는 모델로,
다른 국가의 청정에너지 전환 정책에 참고 사례가 될 가능성 있음
- 정부가 계획대로 추진할 경우 긍정적 결과가 예상된다는 평가 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