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준비생들에게 취업 준비에 드는 비용을 물은 결과 월평균 30만원 가까이 지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준생들은 어학이나 자격증 취득 비용이 가장 부담이 크다면서 정부가 지급한 소비쿠폰을 취업 관련 목적으로 사용할 계획이라고 답했다.
17일 상위권 채용 플랫폼 진학사 캐치에 따르면 취준생들이 지출하는 월평균 취업 비용은 약 28만원으로 조사됐다. 금액대별로 보면 44%는 '10만~30만원'을 지출했다. 10만원 미만과 30만~50만원을 쓴다는 응답은 각각 23%, 22%를 나타냈다. 50만~100만원은 8%, 100만원 이상은 3%였다.
이들 가운데 46%는 취업 준비 비용이 지난해와 비슷하다고 입을 모았다. '작년보다 늘었다'는 응답자는 43%로 뒤를 이었다. 11%만 '줄었다'고 답했다.
가장 부담이 큰 지출 항목은 '어학·자격증 취득비'로 꼽혔다. 응답자 중 29%가 이 비용 때문에 부담을 크게 느꼈다. 이어 면접비 10%, 학습 물품비 8%, 취업 컨설팅 7%, 대외활동·동아리비 1% 순이었다.
비용을 '모아둔 개인 자금'에서 마련한다는 응답은 63%(복수응답)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47%는 가족의 지원을 받았다. 아르바이트·인턴 수입으로 충당하는 응답자도 45%에 달했다. 이 외에도 정부보조금 18%, 장학금 4%, 대출 3% 등을 나타냈다.
정부가 경기 활성화를 위해 추진한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계획에 관해선 42%가 '취업 관련 목적'으로 쓰겠다고 답했다. 사용계획이 가장 많은 분야는 식음료(82%), 보건·의료(29%), 학습·교육(28%), 패션·뷰티(19%), 미용·생활(17%), 운동·스포츠(15%) 순을 기록했다.
김정현 진학사 캐치 본부장은 "취업 비용 증가는 단순히 물가 상승 때문이 아니라 청년층이 체감하는 고용 불안이 함께 작용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김대영 한경닷컴 기자 kd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