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GPT'가 아니었다…한국인이 가장 오래 쓰는 AI 챗봇 앱은?

5 hours ago 1

와이즈앱·리테일 조사 결과
MAU는 챗GPT가 1844만명으로 1위지만
사용시간은 제타가 5248만시간으로 챗GPT 앞질러
AI와 감정적 유대관계 형성하는 사람 빠르게 늘어

한국인이 가장 오래 쓰는 AI 챗봇 앱은? 챗GPT 아닌 ‘제타’

한국인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인공지능(AI) 챗봇 앱은 오픈AI의 챗GPT로 나타났다. 가장 오래 사용하는 앱은 챗GPT가 아닌 스캐터랩의 AI 캐릭터 채팅 서비스인 제타였다.

15일 실시간 앱·결제 데이터 기반 시장 분석 솔루션인 와이즈앱·리테일이 한국인 스마트폰 사용자를 표본 조사한 결과 지난달 한국인이 가장 많이 사용한 AI 챗봇 앱은 챗GPT로 월간 활성 이용자 수(MAU) 1844만명을 기록했다. 이어 제타(304만명), 뤼튼(245만명), 퍼플렉시티(171만명), 에이닷(138만명), 다글로(63만명), 채티(43만명), 클로드(42만명), 그록 AI(36만명), 크랙(35만명) 순이었다. 챗GPT와 제타, 퍼플렉시티, 클로드의 MAU는 각각 출시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한국인이 가장 오래 쓰는 AI 챗봇 앱은? 챗GPT 아닌 ‘제타’

사용시간을 기준으로 한 순위는 달랐다. 사용시간이 가장 길었던 앱은 5248만 시간을 기록한 제타로 챗GPT(4254만 시간)를 앞질렀다. 이어 크랙(641만 시간), 퍼플렉시티(192만 시간), 채티(141만 시간), 다글로(121만 시간), 뤼튼(98만 시간), 클로드(17만 시간), 에이닷(11만 시간), 그록 AI(9만 시간) 순이었다.

1인당 이용 시간을 환산해 보면 제타가 17.2시간으로 챗GPT(2.3시간)보다 7배 이상 오래 쓰는 셈이다. 크랙의 1인당 이용 시간은 18.3시간으로 제타보다 길었다.

제타와 크랙 모두 캐릭터성을 부여한 AI 챗봇과 대화를 나누는 데 특화한 서비스다. 제타의 경우 10~20대가 이용자의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제타를 만든 스캐터랩은 과거 데이터 학습으로 논란이 됐던 AI 챗봇 ‘이루다’를 만들었던 곳이다.

업계에선 AI와 감정적인 유대관계를 형성하고 지속적으로 상호작용하는 사람들이 점차 늘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영국의 AI 기반 학습 기술 회사인 필터드닷컴이 지난 3월 발표한 ‘2025년 톱 100 생성형 AI 활용 사례 보고서’에 따르면 생성형 AI를 가장 많이 쓰는 분야는 ‘심리 상담 및 감정적 동반자’였다. 이어 인생 계획 설정, 인생 목적 탐색이 나란히 2,3위를 차지했다. 자기 계발(4위), 코드 생성 및 프로그래밍 지원(5위) 등 업무와 관련한 분야는 그다음이었다.

이승우 기자 leeswoo@hankyung.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