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필수 "공공병원은 최후의 보루…민간 협업해 효율 높일 것"

1 month ago 16

이필수 "공공병원은 최후의 보루…민간 협업해 효율 높일 것"

“민간 의료와 공공의료는 제로섬이 아니라 상호보완적 협력 관계가 돼야 합니다. 이런 협업 시스템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필수 경기도의료원장(사진)은 25일 취임 1년을 앞두고 한국경제신문과 만나 이렇게 말했다. 흉부외과 의사로 전라남도의사회장을 지낸 그는 2021년 5월부터 지난해 2월까지 대한의사협회 회장을 맡았다. 지난해 10월부터 경기도 산하 수원·안성·이천·포천·파주·의정부 등 6개 공공병원 운영을 책임지고 있다. 민간 의료 대표에서 공공의료 최전선으로 자리를 옮긴 것이다.

공공의료는 꼭 필요한 사회 안전망이지만 이를 바라보는 시선이 곱지만은 않다. 국민 사이에선 ‘세금 먹는 하마’라는 편견이 여전하다. 민간 의료기관들은 ‘불필요한 경쟁자’로 여긴다. 그는 “내부에서 보니 공공병원이 무너져선 안 될 최후의 보루라는 게 절실히 와닿았다”고 했다.

민간 병원에서 환영받지 못하는 의료급여·차상위계층 환자 등에게 공공병원은 없어선 안 될 존재다. 감염병 등 국가 위기 상황에서도 마찬가지다. 이 의료원장은 “코로나19 때 공공병원들이 감염병 전담 병원으로 전환해 최일선에서 방어했다”고 했다. ‘만년 적자’ 꼬리표도 이런 역할 때문에 생겼다는 게 그의 진단이다. 코로나19 비상사태는 2023년 5월 끝났지만 공공병원은 여전히 그 여파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그는 “취임 후 차로 한두 시간 거리에 있는 산하 병원들을 매주 돌면서 독려하고 있지만 환자 수는 코로나19 이전의 70% 수준에 그친다”며 “앞으로 2~3년 정도는 정부 지원이 더 필요할 것”이라고 했다.

고질적인 인력난도 고민이다. 지역 공공병원에선 연봉 4억원에도 의사를 못 구한다. 남은 의사 업무가 가중돼 이들마저 병원을 떠나는 악순환이 이어지고 있다. 이 의료원장은 서울시·경기도의사회와 협약을 맺고 의사를 구할 때마다 내부 회원에게 알리는 민간-공공 네트워크를 구축해 문제를 해결했다. 헤드헌팅 업체에 맡길 때 지급하던 수수료 부담을 줄인 데다 인력 조달 속도도 빨라졌다. 이 의료원장은 “의대 정원의 5~10%를 ‘지역의사전형’으로 선발하고 전문의를 딴 뒤 10년 정도 의료취약지역이나 공공병원에 의무 복무하도록 하는 ‘지역의사제’가 가장 현실적인 대안”이라고 했다.

이지현 기자 bluesky@hankyung.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