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말저런글] 헤살(훼방하는 짓)은 말고 해찰(애먼 짓)은 가끔

3 weeks ago 11

아이들이란 자칫 한눈팔고 해찰하기 일쑤라서 가끔 주의를 환기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 문장에 쓰인 해찰은 '마음에 썩 내키지 않아 물건을 부질없이 이것저것 집적거려 해침. 또는 그런 행동'을 뜻합니다. '일에는 마음을 두지 않고 쓸데없이 다른 짓을 함'을 의미하기도 하고요. 해찰한다는 해찰(을) 부린다고 써도 됩니다. ≪일꾼들이 눈을 속이기로 하면, 주인이 하루 종일 지키고 앉아 있는 것도 아닌데, 볼 때만 하는 척하고 안 보이면 해찰을 해 버려도 어쩔 수 없는 노릇이었다≫(최명희/魂불)라는 소설 속 용례가 있습니다. 음절 '해' 때문에 해태(懈怠. 게으를 해 게으를 태)가 떠오릅니다. 행동이 느리고 움직이거나 일하기를 싫어하는 태도나 버릇, 어떤 법률 행위를 할 기일을 이유 없이 넘겨 책임을 다하지 아니하는 일, 칠죄종(七罪宗)의 하나로 선행에 게으른 것을 각각 일컬어 해태라고 합니다. 해찰과 함께 익히면 좋을 단어로 보아 적어둡니다.

이미지 확대 소설어사전에서 찾은 단어 '해찰'

소설어사전에서 찾은 단어 '해찰'

[고려대 출판부 한국 현대소설 소설어사전 / 촬영 고형규]

해찰이 애먼 짓이나 게으른 행태 쪽이라면 헤살은 훼방 놓는 짓이나 짓궂은 행태 쪽입니다. 헤살의 사전적 정의가 남의 일이 안 되도록 짓궂게 훼방하는 노릇이니까요. 헤살은 헤살을 놓다, 부리다, 치다 하고 쓸 수 있습니다. 소설 속 용례로는 ≪당신이 못 해 주거든 가만히나 있지 왜 남이 해 준다는 것까지 헤살이오?≫(홍명희/林巨正)가 확인됩니다. 헤살은 물 따위를 젓거나 하여 흩뜨림 또는 그런 짓이라는 의미도 있다고 하는데, 그렇게 쓰이는 것은 흔치 않은 듯합니다. 해찰이나 헤살이나 낱말 자체 뜻으로만 보면 '긍정'보다 '부정' 쪽입니다. 그 부정의 크기로 보자면 헤살은 해찰보다 훨씬 클 테고요. 덧붙여 뒤집어서 생각해 보면 해찰은 긍정의 의미로도 다가옵니다. 가끔은 일손 놓은 채 없는 시간이라도 쪼개어 멍때리며 해찰하는 것이 더 나은 일을 만들어 내고 삶을 풍요롭게 할 테니까요. (서울=연합뉴스, 고형규 기자, uni@yna.co.kr)

※ 이 글은 다음의 자료를 참고하여 작성했습니다.

1. 김정선, 『동사의 맛』, 도서출판 유유, 2018, pp. 199-200. 해찰하다 해살하다 부분

2. 고려대 출판부, 한국 현대소설 소설어사전, 1998

3. 표준국어대사전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2025년09월29일 05시55분 송고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