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딥페이크 관련 경찰 신고는 2021년 156건에서 지난해 964건으로 6배 이상 늘었다.
- 배수시설 민원은 지난 상반기 8천872건 접수돼 전년 동기(5천495건) 대비 1.61배 증가했다.
- 연간 출원 규모는 2005년 57건에서 지난해 416건으로 약 7.3배 늘었다.
언제부턴가 증감 표현이 무뎌졌습니다. 얼마 늘었다 줄었다 하거나 몇 배 증가했다 감소했다 하는 말들 말입니다. 정보를 전하는 글인데, 게다가 숫자를 쓰고 그 변화를 나타내는 경우라면 더 벼릴 필요가 있습니다.
어제까지 1000원 하던 빵값이 오늘부터 1500원 한답니다. 다양하게 쓸 수 있습니다. 빵값이 오늘부터는 50% 오른 1500원이라는 거네요. 0.5배 오른 가격이라고요. 하루아침에 값이 1.5배가 되어버렸다는 거예요. 1.5배로 뛴 가격이라고요. 빵값은 1000원에서 1500원으로 0.5배(50%) 올랐습니다. 가격이 1000원에서 1500원으로 올라, 1.5배(150%)가 되었다고요.
이미지 확대
[연합뉴스TV 제공]
1이 2가 되면 1 증가한 것 아닐까요? 원래 수치는 1. 그 1과 같은 크기만큼 늘었다면 1배, 즉 100% 증가했다고 합니다. 증가 폭은 1배, 100%입니다. 배증이라고도 합니다. 2는 배증한 결과치입니다. 결과에 이른 숫자라고요. 1보다 1이 많아졌네요. 1이 배 늘어서 2배인 2가 된 것입니다. 강조하고 싶은 것은 증가량이 2배, 즉 200%가 아니라는 점입니다. 어인 말씀을요. 증가량이 2배라면 증가한 결과치는 3이 돼야 마땅하잖아요.
예문들에서 보이는 문제는 무엇일까요? 6배 이상, 1.61배, 약 7.3배를 증가량인 양 썼다는 것입니다. 원 수치에 견준 결과치 크기를 [∼배]로 표시한 것인데도요. [X배 늘었다] 하면 X배는 증가량입니다. [X배로 늘었다] 하면 결과치를 말하는 거고요. 조사(∼로, 등등)가 뜻을 가릅니다. 예문들은 비교하는 숫자 둘을 다 썼기에 오인될 여지가 없거나 적다고 반론할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1차 자료로 활용되는 글이라면 오독할 가능성을 원천 차단하는 게 좋습니다. 부정확한 정보 유통을 우려해서입니다. 특정 기사문에서 세부 수치는 빼고 증감량만 따서 인용, 재인용하는 다른 글이 얼마든지 생산될 수 있거든요. 학술 논문이나 책들이 예입니다. 이 경우 증감치와 증감 결과치가 뒤섞여 추정될 수 있습니다. 통계나 여러 수치 활용에서 혼란이 생기는 거지요.
[○○○에 따르면 지난달 밤 지하철역을 찾은 사람들은 16만5천명으로 전달보다 두배 이상 늘었다]라는 보도 내용도 보았습니다. 여기서 전달은 글자 그대로 지지난달일까요, 아니면 지지난달 밤일까요? 또, 밤은 언제부터 언제까지를 말하는 걸까요? 결정적으로 지지난달 (밤에) 지하철역을 찾은 사람은 몇 명가량으로 추산할 수 있을까요? 막막합니다. 표현이 모호한 탓입니다. 매출과 영업이익, 그리고 그 증감을 주로 옮기는 기업 실적 기사문만큼은 아니더라도, 정보를 전하는 모든 글은 숫자를 더 세심하게 다뤄야 합니다. 독자들 신뢰가 배증하여 지금의 두 배가 되는 것을 꿈꾼다면요. (서울=연합뉴스, 고형규 기자, uni@yna.co.kr)
※ 이 글은 다음의 자료를 참고하여 작성했습니다.
1.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온라인)
2. 네이버 고려대한국어대사전
3. 동아 백년옥편 전면개정판(2021년판)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2025년07월22일 05시55분 송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