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티브 잡스는 애플의 핵심 가치를 혁신·디자인·단순함과 함께 고객 경험에 두었으며, 이를 해치는 요소를 철저히 배제함
- 최근 Apple Maps에 광고 도입이 예고되면서, 과거 잡스가 지켰던 ‘고객 경험의 순수성’이 흔들리고 있음
- 잡스는 1999년 Mac OS에 광고를 넣자는 제안을 직접 거부하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순수함”을 지키는 것을 우선시함
- 반면 팀 쿡 체제의 애플은 App Store 광고 확대에 이어 새로운 수익원 확보를 위해 광고 노출을 확대 중임
- 글은 오늘날 애플이 잡스 시절의 원칙을 잃고 상업화의 길로 나아가고 있음을 문제로 제기함
스티브 잡스의 ‘레드라인’과 고객 경험 중심 철학
- 스티브 잡스는 고객 경험(Customer Experience) 을 애플의 핵심 가치로 두었으며, 이를 위해 막대한 투자를 아끼지 않았음
- 그는 고객 경험이 새로운 고객을 유입시키고 브랜드 충성도를 높이는 핵심이라고 봄
- 광고 대행사와의 회의에서 “고객 경험이 전부”라는 원칙을 명확히 제시함
- 잡스는 고객 경험을 해치는 아이디어를 단호히 거부했으며, 이를 ‘넘지 말아야 할 선(red line)’으로 규정함
- 그는 제품의 단순함과 우아함을 유지하기 위해 광고나 불필요한 요소의 삽입을 금지함
애플의 현재 변화와 광고 도입
- 최근 보도에 따르면 Apple Maps에 광고가 도입될 예정이며, 이는 2015년 App Store 광고 도입과 2021년 광고 슬롯 확장에 이은 조치임
- 글은 “초대받지 않은 광고는 더 나은 고객 경험과는 거리가 멀다”고 지적함
- 이러한 변화의 이유는 수익 확대로, 애플 이사회가 새로운 매출원 확보를 환영했을 것으로 언급됨
- 글은 “세계에서 가장 부유한 기업 중 하나인 애플이 손쉬운 돈벌이를 위해 영혼의 일부를 팔고 있다”고 표현함
1999년 Mac OS 광고 제안 사례
- 1999년경, 광고 대행사 리 클라우(Lee Clow)와 함께 Mac OS에 광고를 삽입하는 제안이 논의됨
- 제안 내용은 두 가지 버전의 OS 제공: 광고 없는 유료 버전($125)과 광고가 포함된 무료 버전
- 광고 방식으로는 부팅 시 브랜드 영상 재생 또는 맥 시스템 내 맥락 광고(예: 잉크 부족 알림에 잉크 광고) 등이 논의됨
- 잡스는 며칠 후 이 제안을 직접 폐기함
- 이유는 “Mac 사용자가 사랑하는 순수하고 깔끔한 인터페이스를 훼손한다”는 것이었음
- 그는 어떤 사용자도 광고로 오염된 OS를 보게 하고 싶지 않았으며, ‘미끄러운 경사길(slippery slope)’ 에 들어서지 않기 위해 단호히 거부함
팀 쿡 체제의 변화와 원칙의 약화
- 글은 “레드라인은 스스로 유지되지 않는다. 리더가 지키려는 한에서만 존재한다”고 지적함
- 시간이 지나면 이러한 원칙은 관리되지 않으면 사라짐
- 팀 쿡은 잡스만큼 사용자 경험을 보호하지 않는다는 평가를 받음
- “왜 지금은 광고가 괜찮고, 잡스 시절에는 안 됐는가?”라는 질문에 대한 유일한 답은 “지금의 애플은 잡스의 애플과 다르기 때문”이라는 문장으로 요약됨
- 글은 이 차이가 바로 현재 애플의 문제의 본질이라고 결론지음
결론: 사라져가는 ‘잡스의 애플’
- 스티브 잡스가 세운 고객 중심의 순수한 경험 철학은 애플의 정체성을 형성한 핵심 요소였음
- 오늘날 애플은 광고 기반 수익 모델을 확대하며, 과거의 원칙과 거리를 두고 있음
- 글은 “레드라인을 넘은 애플”이 잡스 시대의 정신을 잃고 상업화로 기울고 있다는 점을 강조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