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마존이 상품 혼합(commingling) 프로그램의 중단을 공식 발표함
-
상품 혼합 방식은 여러 셀러의 동일 상품을 바코드로 분류해 창고 공간 및 배송 속도 최적화 목적이었으나, 위조품 및 문제 상품 유입 문제가 꾸준히 제기됨
- 주요 브랜드와 셀러들이 혼합 보관 정책이 문제 추적 및 브랜드 신뢰도에 악영향을 미친다고 불만을 지속적으로 표출함
- 최근 물류망 개선 및 브랜드 별 직거래 강화로, 혼합 보관의 필요성이 줄어듦
-
아마존은 올해 내 공급망 전반에서 혼합 정책을 단계적으로 종료할 예정임
아마존의 혼합 보관 정책 종료
혼합 보관 프로그램 중단 배경
- 아마존은 시애틀에서 개최된 연례 Accelerate 셀러 컨퍼런스에서 오래된 “상품 혼합(commingling)” 프로그램을 종료한다고 공식 발표함
- 이 결정은 해당 날 오전, 그 어떤 소식보다 셀러로부터 강한 박수를 받았음
혼합 보관 정책의 문제점
- 혼합 보관이란 여러 셀러의 동일 제품을 한 바코드 아래 풀(pool) 형태로 보관하는 정책임
-
배송 속도 상승과 창고 공간 효율화 목적임
- 그러나 이로 인해 위조품이나 만료 상품이 정품과 함께 배송될 가능성이 커짐
- 수년 동안 브랜드들은 상품 문제 발생 시 책임 셀러 추적이 불가능해지고, 브랜드 평판이 위협받는다는 점을 지적함
- 2013년 Johnson & Johnson은 아마존이 품질 문제 대응을 충분히 하지 않는다고 판단해 다수 소비재 상품 판매를 일시 중단한 사례가 있음
정책 변화의 의미
- 아마존은 혼합 보관 종료를 통해 브랜드 보호 강화 의지를 내비침
- 신뢰할 수 있는 브랜드와의 직거래 관계를 더욱 중시하는 전략임
- 최근 Nike와의 도매 파트너십 부활 사례처럼, 주요 브랜드와 직접 거래를 확대하는 움직임과 연계됨
- 셀러와 소비자의 위조품 우려와 불만에 대응하는 방침임
물류망 변화와 혼합 정책 쇠퇴
- 아마존 경영진은 발표에서 “혼합 보관의 경제적 이점이 사라졌음”을 언급함
- 현재 아마존 물류 네트워크는 상품을 고객 가까이에 보관할 수 있을 만큼 발전함
- 상품 혼합 없이도 고객이 원하는 빠른 배송 실현 가능해졌음
- 아마존 추산에 따르면 최근 1년간 브랜드들이 라벨 재부착(re-stickering) 비용으로 약 6억 달러를 지출함
- Nadya Dhalla(아마존 Supply Chain 디렉터)는 “혼합 보관 없이도 대부분 상품이 빠른 배송 가능함. 혼합 보관 중단으로 확보된 자원을 비즈니스 성장에 재투입할 수 있음”이라고 발표함
셀러와 브랜드 생태계 변화
- Marketplace Pulse의 Ben Donovan은 “이번 발표는 최근 수년 아마존 브랜드 지원 정책 중 가장 중요한 변화 중 하나”라고 언급함
-
리셀러 중심 구조에서 브랜드 소유자 중심 구조로 전환되는 신호임
-
아마존에서 리셀러의 기회가 점점 어려워지는 환경임
브랜드와의 직접 거래 전략
- 아마존은 최근 대형 브랜드와의 직접 파트너십 강화에 집중함
- 5월에는 Nike와의 직접 거래를 재개함으로써, 일부 상품의 독립 리셀러 등록 가능성에 제약을 두기 시작함
- 이 흐름은 브랜드 제품 판매에 대한 통제력 강화와 대형 브랜드 유치 전략의 일환임
AI 기반 셀러 도구와 혼합 정책 종료
- 아마존은 이번 발표와 함께 새로운 AI 기반 “에이전틱” 셀러 어시스턴트도 대대적으로 홍보함
- 해당 도구는 지원 티켓 처리, 창고 비용 최적화, 운영 개선 제안을 제공함
- 그러나 AI 이슈보다 상품 혼합 정책 종료가 셀러들에게 더욱 큰 반응을 이끎
향후 일정
- 아마존은 올해 내 공급망 전반에 걸쳐 상품 혼합 정책을 단계적으로 종료할 것이라 발표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