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큐가 모니터 조명 신제품 '스크린바 헤일로 2'를 공개했다 / 출처=IT동아
[IT동아 강형석 기자] 2025년 5월 15일, 벤큐는 더링크 서울 트리뷰트포트폴리오 호텔에서 신제품 출시 간담회를 개최, 모니터 조명 신제품 ‘스크린바 헤일로(ScreenBar Halo) 2’를 공개했다. 2024년 공개한 스크린바 헤일로의 후속 제품으로 조명 출력 향상 및 제품 사용성을 개선하며 완성도를 높였다.
소윤석 벤큐코리아 지사장은 “사람들은 업무, 학업에 집중하는 과정에서 많은 디지털 매체를 접한다. 대부분 모니터를 활용하는데, 사용 중 눈에 많은 부담을 준다. 우리는 눈에 관심을 가져야 된다. 벤큐는 아이케어(Eye-Care) 브랜드로 2011년부터 지금까지 눈에 대한 많은 연구를 진행 중이다. 스크린바 헤일로 2는 아이케어와 디자인을 합친 최초이자 최고의 제품이라 자부한다”고 말했다.
제이씨 판(JC Pan) 벤큐 조명사업부 총괄 이사 / 출처=IT동아
제이씨 판(JC Pan) 벤큐 조명사업부 총괄 이사는 “조명은 레드오션이지만, 우리는 생각을 전환하며 돌파구를 찾았다. 과거에는 조명 하나로 독서, 근무, 인테리어 등에 썼다. 처음 조명은 문서를 읽기 위해 고안된 장비다. 대다수 사람들은 모니터 화면 앞에서 작업하고 있다. 벤큐는 조명의 변화 필요하다 느꼈고, 다양한 분석을 통해 새로운 조명 제품군을 선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모니터 조명은 무엇인가요?
모니터 조명은 PC 모니터 위에 달아 주변만 밝게 해주는 장치다. 빛은 필요하지만 방 전체를 환하게 밝히기 부담스러울 때 쓴다. 모니터만 켜고 쓸 경우 눈에 부담을 주기에 전체가 아닌 일부 공간만 부드럽게 밝혀주는 것이다. 책상 위에 스탠드를 놓고 써도 되지만, 모니터 전면에 반사 패널이 있으면 난반사에 의해 시청 시 거슬린다. 눈에도 부담을 줄 가능성이 높다. 반면, 모니터 조명은 모니터 앞 바닥 영역만 집중적으로 비추기 때문에 모니터 화면에 집중할 수 있다.
모니터 조명은 일반 조명과 달리 모니터 앞만 밝혀 야간 모니터 시인성을 개선한다 / 출처=벤큐
가격비교 사이트 다나와에 등록된 모니터 조명은 25개 제조사 44종에 달한다. 가격대도 1만 원부터 20만 원대까지 다양하다. 제이씨 판 이사는 “벤큐는 제품 설계 과정에서 광선 추적 시뮬레이션을 활용해 효과적인 빛 분포를 고민한다. 다른 일반 모니터 조명과 빛이 퍼지는 각도와 출력 등에서 차이를 보인다”고 강조했다.
대만 내 대학들과 협력해 의학ㆍ과학적 고도화도 진행 중이다. 국립 대만대학교 의과대학과 근시, 인공 조명 분야 연구를 시작으로 국립중앙대학교 광학 및 광전자학과와는 광분포와 집중도의 상관관계를 연구한다. 국립 대만과학기술대학교와는 역광 보정을 통한 시각적 편안함을 찾는 연구를 진행 중이다.
스크린바 헤일로 2는 무엇이 달라졌나?
스크린바 헤일로 2는 이전 제품과 비교해 어떤 부분이 달라졌을까? 먼저 후면부 헤일로 라이트 발광부가 원형에서 사각으로 변경됐다. 모니터 뒤쪽을 자연스레 비출 수 있게 LED 제어 영역을 3구역으로 나눴다. 실내 조도(밝기)에 맞춰 출력 제어 장치가 LED 출력을 제어한다. 이상현 벤큐코리아 팀장은 “스크린바 헤일로 2의 출력은 1100럭스(lux)로 1세대의 740럭스 보다 밝기 때문에 화면 시청에 따른 눈의 피로도를 낮추고 집중도를 높여줄 것”이라고 말했다. 럭스는 밝기 단위로 1럭스는 1㎡ 당 1루멘(양초 1개의 빛)의 빛이 균일하게 닿는 것을 기준으로 한다.
벤큐 스크린바 헤일로 2를 모니터에 장착한 모습 / 출처=IT동아
전면부 광원에도 힘을 실었다. 1세대는 광량을 30%에서 100% 사이에서 조절할 수 있었지만, 스크린바 헤일로 2는 10%에서 100% 사이에서 조절 가능하다. 반도체를 사용해 빛을 내는 LED 조명이기 때문에 밝기를 낮추면 광원이 깜박거리는 플리커 현상이 발생한다. 벤큐는 LED 출력 제어 장치를 활용해 플리커 현상 없이 광량 조절을 지원한다.
자연에 가까운 파장을 방출하는 풀 스펙트럼 LED를 장착했다. 따뜻한 색상 LED 소자와 차가운 색상 LED 소자를 교차 집적한 점도 특징이다 / 출처=IT동아
조명 장치이기에 눈에 피로감을 최소화하는 요소를 담았다. 자연에 가까운 파장을 갖춘 풀 스펙트럼(Full Spectrum) LED 모듈을 채택한 것이다. LED 소자는 브리지럭스(Bridgelux)사 제품을 쓴다. 스크린바 헤일로 2는 따뜻한 색을 출력하는 LED 소자와 차가운 색을 출력하는 LED 소자를 교차 배치했다. 색온도 설정에 따라 각 모듈이 발광하는 구조다. 모듈 하나로 모든 색온도를 조절하는 것보다 각 모듈을 제어하는 게 전력 효율성과 수명 등에서 유리한 면이 있다. 성능도 뛰어나다 벤큐는 색상 충실도(RF) 96 이상, 색 재현 범위(RG) ±2 이내를 구현, 국제조명위원회(CIE) 기준을 상회하는 성능을 제공한다.
이상현 팀장은 “벤큐는 높은 색 재현도를 갖춘 모니터도 판매한다. 색과 빛을 다루는 브랜드로써 색에 영향을 주는 조명을 판매할 수 없다는 생각으로 스크린바 헤일로 2를 개발했다”고 말했다.
2세대 비대칭 조명 방향 기술을 적용해 모니터 앞만 정확히 비춰준다 / 출처=IT동아
비대칭 조명 방향 기술(Asym-metric Lighting Technology)은 모니터 앞을 자연스레 비추는 역할을 담당한다. 1세대 스크린바 헤일로에도 적용된 바 있지만, 2세대로 진화하면서 빛 전달 능력이 강화됐다. 2세대 비대칭 조명 방향 기술은 94.9%의 빛을 전면에 전달하고, 난반사는 0.7% 줄였다. 사용자 인식을 위한 초음파 센서도 달았다. 스크린바 헤일로 2 앞에 있으면 알아서 조명이 자동으로 켜지고, 자리를 비우면 꺼진다.
무선 컨트롤러도 기존 배터리 교환식이 아닌 내장형으로 개선됐다. 1회 충전 시 최대 3개월 사용 가능하다 / 출처=IT동아
컨트롤러도 개선됐다. 1세대는 일반 배터리를 썼지만, 2세대는 충전식으로 바꿨다. 수시로 배터리를 교체하는 번거로움을 줄인 셈이다. 정보 제공 방식도 LED 방식에서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변경됐다. 밝기, 색온도 등을 보여주며 기존 표시등 대비 직관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터치 반응도 빠르고 휠 다이얼도 부드럽게 회전해 세밀한 조작이 가능하다.
호환성도 개선됐다. 기존에는 모니터 두께 1cm~3cm 사이를 지원했지만, 2세대는 0.43cm 두께의 초슬림 모니터부터 6cm 두께 모니터까지 대응한다. 화면에 곡률을 적용해 화면 집중도를 높인 커브드 모니터도 다양하게 호환한다. 제이씨 탄 이사는 “곡률 1000R부터 1800R에 달하는 커브드 모니터와 호환하도록 설계했다”고 말했다.
벤큐는 어떤 소비자를 겨냥했나
스크린바 헤일로 2는 2025년 6월 9일에 출시되며 가격은 27만 9000원에 책정됐다. 1세대 대비 약 3만 원 가량 가격 인상이 있다는 게 벤큐코리아 측 설명이다. 가격이 다소 높다는 인상을 주지만, 향상된 광량과 사용성 개선 등 달라진 점이 뚜렷하기 때문에 시장 경쟁력은 충분하다는 입장이다.
야간에 모니터 사용이 많은 소비자라면 매력적인 제품이다 / 출처=IT동아
모니터 조명이 처음이라면 스크린바 헤일로 2가 매력적이겠지만, 기존 모니터 조명을 사용하는 소비자는 높은 가격이 걸림돌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모니터 조명이 아닌 필립스 휴 또는 기타 간접 조명으로 실내를 꾸민 소비자도 접근하기에 부담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 모두 이중 지출이기 때문이다.
스크린바 헤일로 2의 주 소비자는 야간에도 장시간 모니터를 보는 엔지니어, 사진영상 편집자, 게이머, 학생 등이다. 주변에 영향을 적게 주면서 PC를 쓰고 싶다면 구매 대상이다. 실내 조명을 켜지 않고 화면에 집중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제프리 량(Jeffery Liang) 벤큐 아시아태평양 총괄 사장은 “모니터를 쓰는 모든 소비자를 겨냥했다고 보면 된다. 특정한 환경을 위한 도구가 아니라 눈에 자극을 최소화하고 화면에 집중하도록 돕는 아이케어 장치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IT동아 강형석 기자 (redbk@it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