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류제명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2차관이 인공지능(AI) 현장을 찾아 생생한 의견을 청취하고, 민관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류 차관은 취임 후 첫 번째 행보로서 8일 서울 송파구에 위치한 한국인공지능·소프트웨어산업협회(이하 'KOSA')를 방문하고, AI·디지털 분야 기업인들과의 대화를 나눴다.
이날 'AI·디지털 기업 간담회'에는 조준희 KOSA 회장을 비롯해 LG AI연구원, 네이버클라우드, 퓨리오사AI, 업스테이지 등 AI모델부터 클라우드, AI반도체까지 다양한 분야의 기업인들이 참석했다.
기업인들은 치열한 글로벌 AI산업 주도권 경쟁 동향과 우리 기업들의 현황을 공유하면서, 민관 '원팀'이 돼 미국·중국과 함께 'AI 3대 강국(G3)'으로 도약하기 위한 정책을 구체적으로 제안·논의했다.
우선, 정부는 올해 안에 고성능 그래픽처리장치(GPU) 1만대를 확보해 AI 연구개발과 스타트업 생태계 지원에 투입할 계획이다. 또 국가AI컴퓨팅센터를 설립하고, 컴퓨팅 자원 접근성 격차 해소와 저비용·고성능 인프라 제공을 목표로 관련 규제 개선도 병행하고 있다. 이외에도 세계 최정상급 거대언어모델(LLM) 개발 지원, AI 챔피언 대회 개최, 국산 반도체 실증 확대, AI 법제 정비 등 정책을 본격화한다.
과기정통부는 매주 정례적으로 AI기업·학계·연구소 등 현장을 찾아 허심탄회하게 소통하고, 필요시 사안에 따라 핵심 문제를 구체적으로 정의하고 집중적으로 논의하는 방식으로 진행할 계획이다.
류 차관은 “AI는 국가 경쟁력을 좌우하고, '진짜 성장'을 이끄는 핵심 수단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만큼, 새롭게 출발한 정부에서도 핵심 국정과제로 추진하기 위해 준비하고 있다”며 “현장의 목소리가 국정과제에 잘 반영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차질없이 추진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조준희 KOSA 회장은 “민간에서도 정부 정책에 발맞춰 우리나라 AI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고, 혁신적인 AI 생태계 구축을 위해 함께 노력해 나가겠다”고 전했다.
김명희 기자 noprint@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