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컴퓨터에서 내가 원하는 것을 실행할 자유는 어디로 갔는가?

1 week ago 9

  • 개인용 컴퓨터 초창기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모든 소프트웨어를 자유롭게 실행할 수 있는 권한이 있었으나, 오늘날 그 자유는 점차 사라지고 있음
  • 최근 Google의 APK 사이드로딩 제한 강화 발표는 플랫폼 자유에 대한 새로운 제약으로, 보안 명분 아래 사용자의 선택권을 축소함
  • 이러한 폐쇄적 생태계(walled garden) 모델은 원래 콘솔 게임 산업에서 시작되어, Apple의 App Store를 통해 스마트폰으로 확산됨
  • Android와 Windows 같은 개방형 플랫폼도 점차 보안·상업적 이유로 통제 강화 방향으로 이동 중임
  • 이는 단순한 기술 변화가 아니라, 사용자 창의성과 실험 정신의 위축이라는 점에서 개인 컴퓨팅의 본질적 자유를 위협함

자유로운 컴퓨팅의 쇠퇴

  • 40여 년 전 마이크로컴퓨터가 가정에 보급되던 시기에는, 사용자가 플로피 디스크나 BBS에서 받은 프로그램을 자유롭게 실행할 수 있었음
    • 친구에게 받은 디스크, 직접 작성한 코드 등 어떤 형태든 실행 가능
    • 컴퓨터는 ‘사용자의 것’이었고, 실행 여부를 묻지 않았음
  • 그러나 오늘날 이러한 자유는 점차 사라지고 있으며, 사용자 대부분이 그 변화를 인식하지 못한 채 이미 절반 이상 진행된 상태임

Google의 사이드로딩 제한

  • Google은 2026년부터 Play Store 승인 절차를 거치지 않은 APK 설치를 어렵게 하는 정책을 예고
    • 명분은 보안 강화이지만, 실질적으로는 비공식 앱 실행을 제한하는 조치
    • 악성 코드로 인한 개인정보 유출 위험은 존재하지만, 기업의 상업적 이익과 맞물린 동기도 분명함
  • 과거 Android는 Apple과 달리 개방형 플랫폼을 표방했으나, 이번 조치는 자체 생태계 통제 강화로의 전환을 의미
    • 개발자 등록 등 우회 방법은 남아 있으나, 사용자 자유의 실질적 축소로 평가됨

폐쇄 생태계의 기원: 콘솔 산업

  • 폐쇄형 플랫폼(walled garden) 개념은 스마트폰 이전, 비디오 게임 콘솔 산업에서 먼저 등장
    • Sony, Nintendo 등은 승인된 디스크·카트리지만 실행 가능하도록 설계, 개발사로부터 라이선스 수익 확보
    • 예: Nintendo의 10NES 복제 방지 시스템, Sony의 PlayStation 모드칩 회피 사례
  • 소비자들은 콘솔을 단일 목적 기기로 인식했기에, 자체 소프트웨어 실행 제한을 당연하게 수용
    • 대신 풍부한 게임 라이브러리만 보장되면 불만이 적었음
  • 반면 PC는 창작·업무·취미 등 다목적 도구로 인식되어, 개방성이 기본 전제였음

스마트폰 시대의 전환점: Apple과 Android

  • Apple은 iPhone과 함께 App Store 중심의 폐쇄형 모델을 도입
    • 승인된 앱만 설치 가능하며, 보안·품질 보증을 장점으로 내세움
    • 사용자는 바이러스 없는 ‘안전한 생태계’를 환영했지만, Apple의 전면적 통제권이 확립됨
    • 모든 앱은 Apple의 승인과 수수료를 거쳐야 하며, 사용자는 기기 소유자이지만 통제권은 없음
  • Android는 초기에 Linux 기반의 개방형 구조로 Apple과 차별화
    • 사용자는 자체 ROM 설치, 루트 접근, 외부 앱 실행이 가능
    • 그러나 시간이 지나며 보안·업데이트 명분으로 점진적 폐쇄화 진행
    • 루트 접근 제한, 사이드로딩 경고 등으로 사용자 자율성 감소

Windows의 대응과 한계

  • Microsoft 역시 Microsoft Store 중심의 앱 유통 모델을 추진하며 폐쇄형 실험을 반복
    • Windows RT, Windows 10 S 등은 서명된 앱만 실행 가능했으나 상업적으로 실패
    • 현재 데스크톱 Windows는 여전히 임의 실행이 가능한 개방형 구조 유지
  • 그러나 Windows 11 이후 보안·스토어 중심 정책 강화로, 점진적 통제 가능성 존재
    • 사용자 중 상당수는 이미 스마트폰식 제한 환경에 익숙해, 자유 축소에 둔감
  • 데스크톱 생태계는 여전히 전문 소프트웨어·산업용 툴의 개방성에 의존
    • 만약 폐쇄화된다면, 과학·산업 분야 사용자는 Linux로 이탈할 가능성 높음

창의성과 실험 정신의 상실

  • 필자는 가장 큰 우려로, 컴퓨터를 통한 실험과 학습의 자유 상실을 지적
    • 과거에는 누구나 작은 프로그램을 만들어 공유할 수 있었으나,
      오늘날은 SDK 등록·개발자 비용 등 장벽으로 인해 창의적 시도가 위축
    • 커뮤니티 기반의 모드 제작·비공식 콘텐츠 공유도 점차 불가능
  • 이러한 환경은 창의력의 사전 억제로 이어지며, 개인 컴퓨팅의 본질을 훼손
  • 해결책으로는 소비자의 선택(지갑으로 투표) 을 강조
    • 기업이 승인한 코드만 실행되는 ‘소비자용 컴퓨팅(Consumer Computing)’이 아닌,
      사용자가 통제권을 가진 개인용 컴퓨팅(Personal Computing) 을 지켜야 함
    • “당신의 컴퓨터는 당신이 원하는 것을 실행해야 한다”는 원칙의 회복이 핵심임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