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국내 1위 찍었다…자체 개발 AI 한국어 시켰더니 '깜짝'

5 hours ago 1

서울 광화문 KT 본사. /사진=한경 DB

서울 광화문 KT 본사. /사진=한경 DB

KT가 자체 개발한 한국적 인공지능(AI) '믿:음 2.0(믿음 2.0)'이 한국어 거대언어모델(LLM) 평가에서 국내 1위를 기록했다.

KT는 9일 믿음 2.0이 한국어 LLM 평가 지표 '호랑이 리더보드3'에서 파라미터 수 150억개 미만의 국내 기업 개발 모델 가운데 종합 성능 1위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믿음 2.0 베이스의 종합 점수는 0.7197(△범용 성능 0.7004 △응답 정렬 성능 0.739)로 전세계 동급 모델 중에서는 3위에 해당한다.

KT의 자체 개발 AI '믿음 2.0 베이스'가 지난 8일 호랑이 리더보드 파라미터 수 150억개(15B사이즈) 이하 모델 순위에서 전 세계 3위를 기록했다. 사진=KT

KT의 자체 개발 AI '믿음 2.0 베이스'가 지난 8일 호랑이 리더보드 파라미터 수 150억개(15B사이즈) 이하 모델 순위에서 전 세계 3위를 기록했다. 사진=KT

호랑이 리더보드는 글로벌 MLOps 기업 웨이트앤바이어스(W&B)가 주관하는 한국어 특화 LLM 평가 벤치마크다. 실제 한국어 환경에서의 범용적인 언어 이해력과 응답 안전성을 포함하는 정렬성 등 한국어 LLM의 실용적인 역량을 다면적으로 평가한다. 단편적인 지식을 묻는 질문에 대한 답변 정확성을 평가하는 기존 벤치마크와 달리 작문·추론·정보 추출 등 실생활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평가해 모델의 실용적 능력을 평가하는 지표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한국어 고유의 문맥, 표현, 사회적 맥락 등을 반영한 응답인지를 평가해 국내 시장에서 실효성을 가늠하는 데 중요한 기준으로 꼽힌다. 평가 결과는 W&B가 운영하는 WanDB 플랫폼을 통해 투명하게 공개되어 누구나 직접 검증할 수 있다.

믿음 2.0은 이번 성과로 국산 기술력 기반의 한국어 AI 모델로서 경쟁력을 입증했다. 외산 모델을 기반으로 단순하게 튜닝한 방식이 아니라 아키텍처 설계부터 데이터 구축·학습까지 전 과정을 KT가 직접 수행하는 '프롬 스크래치' 방식으로 개발한 모델이라는 점에서 기술적 의미가 크다는 설명이다.

KT는 믿음 2.0을 개발하면서 한국의 정신과 생활방식, 지식과 사회적 맥락을 반영해 한국에 가장 잘 맞는 AI로 학습시켰다고 강조했다.

KT는 믿음 2.0 기반의 맞춤형 기업간거래(B2B) AI 솔루션을 산업 전반에 제공하고 공공·금융·교육·법률 분야에서 실증을 추진한다. 현재 공개된 버전에서 성능을 더 높인 믿음 2.0 프로 공개도 준비하고 있다. 믿음 2.0의 추론, 멀티모달 기능 확장과 함께 국산 AI 반도체 기업 리벨리온과 협력해 AI 생태계를 강화할 방침이다.

신동훈 KT Gen AI 랩장 상무(CAIO)는 "믿음 2.0을 국내 다양한 산업 분야에 적용해 '한국적 AI'의 시장 확산에 본격적으로 나설 것"이라며 "한국적 AI의 실용화와 기술 발전을 이끄는 핵심 주체로 자리매김하겠다"고 말했다.

박수빈 한경닷컴 기자 waterbean@hankyung.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