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O리그, 보수 총액 하한선 도입…한미일 프로야구 최초

1 month ago 12

2027년부터 적용…보수 총액 하한선은 60억6천538만원

3년간 샐러리캡은 5%씩 오른 144억원→151억원→159억원

이미지 확대 KBO 사옥 외경

KBO 사옥 외경

[연합뉴스TV 제공]

(서울=연합뉴스) 김경윤 기자 = 국내 프로야구에 보수 총액 하한선이 도입된다.

한국야구위원회(KBO)는 24일 제3차 이사회 결과를 발표하고 "리그의 재정 형평성과 경쟁 균형 확보를 위해 하한액을 도입하기로 했다"며 "최근 2년(2023~2024년)간 구단별 보수 총액 상위 40명의 최하위 구단 평균 금액인 60억6천538만원을 하한액으로 결정했다"고 전했다.

구단이 정해진 보수 총액 하한액보다 선수단 운영에 더 많은 돈을 써야 하는 이 제도는 2027년에 도입하고, 하한액은 매년 5%씩 상향 조정된다.

이를 지키지 않은 구단은 제재금을 납부해야 한다.

1회 미달 시 해당 구단은 미달분의 30%, 2회 연속 미달 시는 미달분의 50%, 3회 연속 미달 시는 미달분의 100%를 유소년 발전기금으로 납부한다.

KBO 관계자는 "선수 보수 총액에 하한액을 설정하는 건 한미일 프로야구 최초"라고 전했다.

야구계는 KBO가 보수 총액 하한선을 도입하는 건 키움 히어로즈 때문이라고 본다.

2024년 12월에 발표한 키움의 연봉 상위 40명의 합계 금액은 당시 샐러리캡(114억2천636만원)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한 56억7천876만원에 불과했다.

아울러 당시 보수 총액 9위인 NC 다이노스(94억7천275만원)보다 37억9천399만원이나 적었다.

올해 초에 발표한 구단별 연봉 상위 28명 평균 연봉에서도 1억3천43만원으로 1위 KIA 타이거즈(2억9천571만원)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9위 NC(2억314만원)보다도 훨씬 적었다.

그 결과, 키움은 2023년부터 올해까지 3년 연속 최하위를 기록했다. 올 시즌에도 3할대 승률에 그치며 일찌감치 최하위를 확정했다.

야구계 관계자는 "투자에 인색한 키움 문제로 프로야구의 건강한 경쟁 구도가 깨지고 있다"며 "이에 각 구단이 보수 총액 하한선 제도를 끌어낸 것으로 보인다"고 해석했다.

KBO는 아울러 경쟁균형세(샐러리캡) 상한선도 조정하기로 했다.

2026년부터 2028년까지 3년간 매년 5%씩 오른다.

따라서 올해 137억1천165만원인 상한액은 2026년 143억9천723만원, 2027년 151억1천709만원, 2028년 158억7천294만원으로 조정된다.

반면 샐러리캡 위반 구단에 가했던 제재금은 줄어든다.

기존엔 1회 초과 시 초과분의 50%에 해당하는 금액을 야구발전기금으로 납부해야 하지만, 앞으로는 30%에 해당하는 금액을 납부하면 된다.

아울러 그동안 2회 연속 초과 시엔 초과분의 100% 납부, 다음 연도 신인드래프트 1라운드 지명권의 9단계 하락을 부과했으나 이를 초과분의 50% 납부로 줄이고 지명권 하락은 폐지하기로 했다.

3회 연속 초과 시 제재(초과분의 150% 납부, 다음 연도 1라운드 지명권의 9단계 하락)도 초과분의 100% 납부로 줄였다. 다만 1라운드 지명권 하락은 유지한다.

KBO는 "과도한 야구발전기금 납부에 따른 구단의 투자 위축 방지를 위해 결정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샐러리캡 초과 시 납부하는 야구발전기금은 유소년 및 아마추어 발전 목적으로 한정해 사용하기로 했다.

이사회는 구단들의 '꼼수' 계약도 방지하는 방안을 만들었다.

KBO는 "변형 계약을 통한 샐러리캡 우회를 방지하고자 관련 방안을 도입하기로 했다"며 "앞으로 체결되는 신규 다년계약 선수에 관해서는 연봉과 계약금을 합한 총액을 계약 연수로 나눈 평균 금액에 옵션 지급 내역을 합산해 비용 총액을 산정한다"고 전했다.

또한 구단이 지정한 프랜차이즈 선수 1명의 연봉 일부는 샐러리캡 총액 산정에서 제외하기로 했다.

구단은 매년 7시즌 이상 소속 선수로 등록한 이력이 있는 선수 1명을 '예외 선수'로 지정할 수 있고, 경쟁균형세 총액 산정을 위한 구단 상위 40명 선수의 보수 총액을 계산할 때 예외 선수 연봉(계약금 및 옵션 포함)의 50%를 제외해 산출한다.

프랜차이즈 스타를 예외 선수로 두는 건 팬 충성도를 높이기 위한 방책이라고 KBO 사무국은 설명했다.

아울러 KBO 이사회는 내년 3월에 열리는 2026 월드베이스볼클래식(WBC)을 고려해 2026시즌 정규리그 개막일을 3월 28일로 정했다.

시범경기는 3월 12일부터 24일까지 팀당 12경기씩 치르고 올스타전은 7월 11일에 개최한다.

cycle@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2025년09월24일 16시14분 송고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