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rchive.today가 미국 FBI의 조사 대상에 올랐으며, 법원 명령에 따라 도메인 제공업체 Tucows가 사용자 데이터를 제출해야 하는 상황
- 명령서에는 주소, 접속 정보, 결제 정보 등 포괄적 데이터 제공이 요구되며, 불이행 시 제재 조치가 명시됨
- Archive.today는 10년 이상 웹페이지 스냅샷을 저장해온 서비스로, 규제 회피와 익명성으로 인해 유료 콘텐츠 우회에도 사용되어 옴
- FBI의 관심 이유는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저작권 문제, 운영자 출처, 자금 출처 등이 가능한 조사 대상
- 이번 사건은 익명 웹 아카이브 서비스와 법 집행기관 간의 충돌을 보여주는 사례로 주목됨
Archive.today와 FBI의 조사 개요
-
Archive.today는 10년 이상 운영된 웹페이지 스냅샷 저장 서비스로, Internet Archive의 Wayback Machine과 유사하지만 규제나 법적 제한이 거의 없음
- 사용자들은 과거 웹페이지를 열람할 수 있으며, 유료 기사나 페이월을 우회하는 데 자주 활용됨
- 서비스는 기부금과 자체 자금으로 운영되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운영자 신원은 공개되지 않음
- FBI는 최근 법원 명령을 통해 Tucows에 데이터 제출을 요구
- 명령서에는 Archive.today의 고객 정보, 주소, 접속 기록, 결제 내역 등이 포함됨
-
Tucows가 불응할 경우 제재가 가해질 수 있음
- 명령서의 진위 여부는 아직 확인되지 않음
Archive.today의 최근 활동 및 ‘카나리아’ 게시물
- Archive.today의 공식 X(구 트위터) 계정은 1년 이상 침묵하다가 10월 말 “Canary”라는 단어와 URL이 포함된 게시물을 올림
- ‘카나리아’는 광산에서 유독가스 경고를 위해 사용된 새로, 위험 신호의 은유로 해석됨
- 게시물에 첨부된 PDF 문서에는 FBI의 법원 명령이 포함되어 있음
- 해당 문서가 어떻게 입수되었는지는 확인되지 않음
FBI의 관심 배경과 조사 가능성
- FBI가 Archive.today에 관심을 갖는 이유는 법원 명령서에서 명시되지 않음
- 기사에서는 저작권 침해, 불투명한 자금 조달, 운영자 출처, 기술적 운영 방식 등이 잠재적 조사 사유로 언급됨
- Archive.today는 archive.is, archive.ph 등 여러 도메인으로 접근 가능
운영자 신원에 대한 상반된 조사 결과
- 2023년 핀란드 블로거 Janni Patokallio는 Archive.today가 IP 주소를 바꾸는 봇넷을 이용해 반(反)스크래핑 시스템을 우회한다고 주장
- 그는 운영자가 러시아에 기반할 가능성을 제시함
- 2024년의 또 다른 민간 조사는 뉴욕의 한 소프트웨어 개발자를 운영자로 지목
- 이 조사에서는 동유럽 관련설이 잘못된 단서였다고 결론
사건의 의미
- FBI의 법원 명령은 익명성과 법적 회색지대에 있는 웹 아카이브 서비스에 대한 국제적 법 집행의 압박을 보여줌
- Archive.today의 향후 운영 지속 여부와 데이터 보호 문제가 주목되는 상황
- 원문은 독일어판에서 번역되어 heise online 영문판으로 게재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