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Bundler 프로젝트는 15년 이상에 걸쳐 오픈 소스 커뮤니티 중심으로 발전해 온 배경을 가짐
- 주요 기여자들이 역할을 바꿔가며 유지보수 및 관리에 참여했고, Ruby Together와 Ruby Central이 자금 및 관리 문제에 협력함
- 커뮤니티 주도의 의사결정과 투명성, 그리고 개발자 보상 체계를 핵심 가치로 내세움
- 최근 Ruby Central이 Bundler 소유권을 주장하지만, 프로젝트 저자는 상표권을 등록해 커뮤니티의 이익을 보호하려는 입장임
- 차후에 민주적으로 구성된 Ruby 조직이 설립될 경우, 상표권을 해당 커뮤니티 기관에 전면 이전 계획임
Bundler의 역사와 성장
- Bundler는 초기 개발자인 Yehuda와 Carl이 아이디어를 내고 프로토타입을 만든 이후, 2010년부터 현재까지 핵심 유지관리자들의 노력으로 성장해 왔음
- 저자는 Bundler 버전 1.0 개발부터 합류해, 명령체계와 구조를 고도화시킨 핵심 역할을 맡았음
- Ruby 커뮤니티 내에서 Bundler와 관련된 여러 컨퍼런스 발표 및 문서화 작업을 진행함
- 주요 개발자들이 프로젝트에서 점차 멀어지면서, 저자가 Terence Lee와 함께 유지보수와 개선을 이끌었음
- 2013년 bundler.io 도메인을 확보하고, Bundler 각 버전에 최적화된 별도의 문서를 제공했음
프로젝트 소유권 이슈와 커뮤니티 가이드라인
- 2014년 이후 주요 유지관리자가 빠지자 저자는 Bundler의 로고와 기타 소유권 문제를 정리하고, 지속 가능한 자금 조달을 고민함
- Ruby Together라는 비영리 단체를 설립해 Bundler 및 RubyGems, RubyGems.org 유지관리자 자금을 조달함
- Ruby Central은 컨퍼런스에 집중한다는 이유로 공식적 후원을 거절했으나, 협력 의향은 밝힘
- Ruby Together는 Bundler, RubyGems 조직에 직접적 관리 요구 없이 지원만 담당함
Ruby Central과의 통합 및 체계화
- Ruby Central과 Ruby Together가 2021년부터 통합 논의를 시작함
- 양측은 각자 멤버십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자금 조달 방식을 두고 혼선이 있었음
- 통합 합의서에서, 합병 후 핵심 목표가 “유지관리자 보상”으로 명시되고, Ruby Together의 비전, 미션, 가치를 채택함
- 주요 목표:
- 프로젝트 사용자와 유지관리자가 자율적으로 결정권을 가짐
- Ruby 오픈 소스 개발자의 보상 체계 확립
- 커뮤니티에 통제권 부여
- 투명한 거버넌스
- 협업적이고 긍정적인 개발 환경 유지
- 명확하고 공개적인 자금 지원 프로세스
최근 소유권 갈등 및 상표권 보호
- 최근 Ruby Central이 Bundler 단독 소유권을 주장하였으나, 저자는 사실과 다르다고 명확히 밝힘
- 유지관리자의 명성 보호를 목적으로 프로젝트와 관련한 상표권을 본인 명의로 등록함
- 상표권은 저작권 및 MIT 라이선스와 무관하며, Bundler라는 이름 사용 권한에만 영향을 미침
- Ruby Central 포함 누구나 코드 사용은 가능하지만, “Bundler” 프로젝트명 사용은 제한됨
Bundler의 미래와 커뮤니티 귀속
- 상표권은 개인이 보유하지만, 커뮤니티의 이익을 위해 민주적·투명한 Ruby 조직이 구성되는 즉시 해당 기관에 전면 양도 예정임
- 상표권 라이선스 추가 발급 없이 소유권을 완전히 넘길 계획임
- Bundler는 원칙적으로 루비 커뮤니티의 공공재로 남도록 보장함
스폰서 안내
- Spinel이 글 작성 활동을 후원하고 있음
- gem, Rails, CI, 개발자 생산성 등에 전문성을 제공하는 spinel.coop의 서비스 안내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