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시대의 가장 큰 아이러니: 인간이 AI가 만든 문제를 정리하기 위해 고용됨

1 month ago 13

  • AI가 수많은 일자리를 대체하면서 동시에 AI가 만든 무의미한 결과물을 깨끗이 정리하는 새로운 사람 일자리가 증가함
  • AI의 부정확한 글쓰기, 이미지, 코드, 영상 등에서 발생하는 'AI slop'이 온라인을 오염시키는 현상임
  • 이러한 현상으로 인해 잘못된 정보 확산, 문화 품질 저하, 불필요한 자원 소비와 같은 부작용이 뒤따름
  • 점점 더 많은 작가, 디자이너, 개발자가 창작자 대신 '정리 인력' 으로 일하고 있음
  • 진정한 해답은 AI와 인간의 관계 재정립에 있으며, 인간만의 창의성과 진정성이 핵심

AI가 만든 문제를 인간이 정리하는 시대의 아이러니

AI는 수많은 일자리를 대체하는 동시에, AI가 만든 무의미하고 잘못된 결과물(슬랍, slop) 을 정리하는 데 인간을 고용하는 새로운 직업군을 만들었음

디자이너, 작가, 디지털 아티스트 등은 직접 창작하는 대신, AI가 만든 부정확한 산출물을 고치고 개선하는 일에 투입되고 있음

AI Slop이란 무엇인가

Jack Izzo는 AI slop을 진화된 스팸의 한 종류로 설명함

  • ChatGPT, Midjourney 등 도구로 인해 질 낮은 콘텐츠가 대량 생성됨
  • 소셜 미디어, 전자책, 음악, 기사, 심지어 과학 저널 등 다양한 형태로 등장함
  • 이러한 콘텐츠는 겉보기엔 그럴듯하지만, 의미나 독창성, 신뢰성이 부족한 '공허한 칼로리' 와 비슷한 성격임

이미지뿐 아니라 영상도 AI로 쉽게 생성돼 인터넷에 난무하고 있음

  • 토끼 두 마리가 등장하거나, 중간에 사라지는 등 오작동이 빈번함
  • 이런 오류를 사람이 직접 수정한다면, 보다 교묘한 결과물이 만들어질 수 있음

AI Slop의 피해

AI가 만들어내는 대규모 잘못된 정보 생산으로 인해

  • 진짜 유익한 정보가 묻히고, 온라인 플랫폼의 질이 하락하는 현상(Enshittification)이 발생함
  • 기존 창작자가 하던 예술, 음악, 영상, 책, 리뷰 등이 AI가 재활용·재생산하며 문화 자체가 저하
  • AI가 산출물 만들 때 막대한 전력과 물을 소모해 환경 부담도 큼
  • 예술가, 작가 등이 '디지털 환경 미화원'처럼 단순 정리 업무로 몰리며 창의성 상실 및 소진이 심화됨

문제 해결의 주역, AI Slop 정리 인력

AI 시대의 효율성 약속과 달리 인간이 보이지 않는 비용(정리, 품질관리)을 부담하는 구조가 됨

  • AI 콘텐츠 리라이터: AI가 쓴 글을 문맥, 감정, 사실관계를 보강해 다시 작성
  • 아트 픽서: AI가 만든 일러스트, 로고, 이미지의 비현실적인 부분, 글자 오류 등을 수정
  • 코드 디버거: Copilot, ChatGPT가 생성한 불완전 코드의 오류 수정 및 최적화
  • 영상 폴리셔: AI 영상의 물리적 오류나 자연스러움 결핍을 VFX 아티스트가 보정

이런 일자리 대부분은 협업이 아니라 수정·보정 중심의 노동이며, 사람의 진짜 창의성이 발휘되는 공간이 아님

Freelancer, Upwork, Fiverr 등에서 인간의 손길을 요구하는 수요가 빠르게 늘어나는 추세임

진짜 아이러니와 해결책

AI가 인간을 대체하는 것처럼 보였으나, 실제로는 AI의 미숙함을 보완하는 보조 인력으로 인간을 새로 고용하는 이중 구조가 됨

  • 원래 창작자가 되었을 사람들이 '정리 인력'으로 전락하는 비극 발생
  • 진짜 문제는 AI 자체가 아닌, 인간의 성급함과 비용절감 우선 태도에서 비롯됨

해결책은 AI의 지능 향상이 아니라 인간의 현명한 사용과 관여에 있음

  • AI를 인간의 진정한 창의성과 공감이 결합된 도구로서 재정의해야 함
  • 인간이 중심이 되어야 하며, AI가 만든 결과물의 문제를 항시 정리해야 하는 구조로 흘러가선 안 됨

진정 위험한 것은 우리가 AI slop에 익숙해져 인간의 창조적 가치를 잊는 것

  • 지금의 정리 인력은 임시방편이며, 장기적으로는 진짜 인간 창의성과 진정성에 기반한 기술 미래를 지향해야 함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