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데이터센터 서밋 코리아] AI 데이터센터, '스스로 움직이는 인프라'로 진화

6 hours ago 3

인공지능(AI) 시대를 맞아 데이터센터가 스스로 학습하고 판단하며 연산·운영 조건을 최적화하는 '지능형 인프라'로 진화하고 있다는 진단이 나왔다.

14일 열린 '2025 데이터센터 서밋 코리아' 트랙2 세션에서는 다양한 기업이 자동화, 탄소중립, 에이전트 기반 데이터 운영 등 차세대 AI 데이터센터 실현 방안을 제시했다.

한국데이터센터연합회와 전자신문이 공동 주최한 '2025 데이터센터 서밋 코리아'가 '지속가능한 데이터센터 산업 A to Z'를 주제로 14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렸다. 선승한 이노그리드 전무가 'AI기반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통합 운영관리 방안'을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김민수기자 mskim@etnews.com한국데이터센터연합회와 전자신문이 공동 주최한 '2025 데이터센터 서밋 코리아'가 '지속가능한 데이터센터 산업 A to Z'를 주제로 14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렸다. 선승한 이노그리드 전무가 'AI기반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통합 운영관리 방안'을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김민수기자 mskim@etnews.com

선승한 이노그리드 전무는 AI 기반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통합 운영관리 전략을 발표했다.

그는 “AI 인프라는 관리 복잡도와 에너지 사용량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며 이를 해결할 핵심 대안으로 프라이빗·퍼블릭 연계를 포함한 통합 데이터센터(DC) 관리 플랫폼을 제시했다.

이노그리드는 모듈화된 클라우드 인프라 위에 AI 연산 환경을 유연하게 얹을 수 있는 구조로 자원 스케일업과 자동화된 자산 추적, 에너지 모니터링 기능까지 통합한 바 있다.

김경수 굿모닝아이텍 이사는 삼성 클라우드 플랫폼 기반의 디지털혁신 전략을 소개했다.

그는 “AI 연산 환경에선 멀티 클라우드 기반의 하이브리드 구조와 운영 자동화, 응용프로그래밍인터페이스(API) 기반 데이터 연동이 필수”라며 “삼성은 클라우드 인프라에 AI 연산과 스토리지, 보안을 유기적으로 결합해 디지털 업무 전환의 기반으로 삼고 있다”고 말했다.

이승권 아이에이클라우드 최고정보책임자(CIO)는 미래형 인프라의 방향성과 로드맵을 제시했다.

그는 “단기적 설비 개선이 아닌, 에너지 설계·AI 네이티브 소프트웨어·자산 모니터링·재생에너지 도입까지 포함한 통합 전환 전략이 필요하다”며 “AI는 이제 데이터센터 시스템의 설계 기준점이 됐고, 모든 인프라는 AI 네이티브 환경을 중심으로 전환돼야 한다”고 말했다.

류제광 코헤시티코리아 이사는 'AI 에이전트 시대의 새로운 데이터 관리 패러다임'을 제시했다.

그는 “AI 학습에 필요한 비정형·정형 데이터를 적절하게 수집·분석하기 위해서는 백업과 운영 데이터를 통합 관리하는 체계가 필요하다”며 “AI가 데이터를 실시간 식별·연동·전처리하는 기능은 데이터센터의 기본 기능이 돼야 하고, 스토리지와 연산 사이에 중복되지 않는 데이터 흐름 설계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항석 클루닉스 상무는 AI 인프라 운영의 복잡성을 해결할 통합 플랫폼을 제시했다.

그는 “AI 환경은 그래픽처리장치(GPU), 텐서처리장치(TPU), 중앙처리장치(CPU) 등 이기종 자원이 혼재된 구조로, 운용체계와 자원 배분 알고리즘의 복잡도가 급증한다”며 “자사의 '아렌티어(RNTier)' 플랫폼은 이를 단일 포털에서 통합 제어할 수 있다”고 말했다.

김성민 슈퍼마이크로코리아 상무는 AI 하드웨어의 밀도가 높아지면서 인프라 설계 방식에도 물리적 전환이 불가피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기존 데이터센터는 랙당 수십 kW급 전력 소비를 감당하기 어렵다”며 “자사의 DLC-2, DCBBS 아키텍처는 고효율 액침 냉각과 고밀도 서버 최적화를 동시에 실현하는 솔루션”이라고 말했다.

특별강연을 맡은 김성은 이너젠 대표는 '친환경 데이터센터 운영 전략'을 발표했다.

그는 “AI 인프라 확장은 에너지 소비 증가와 탄소배출 확대라는 이중 문제를 낳고 있다”며 “에너지저장장치(ESS), 고효율 무정전전원장치(UPS), 태양광 설비 연계, AI 기반 예측 제어 시스템 등이 ESG 대응의 핵심”이라고 밝혔다.


이어 “국내외 주요 고객은 이미 탄소중립 성과를 조달 요건에 포함하고 있다”며 “향후 데이터센터의 전력구성과 운영보고서까지 요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국데이터센터연합회와 전자신문이 공동 주최한 '2025 데이터센터 서밋 코리아'가 '지속가능한 데이터센터 산업 A to Z'를 주제로 14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렸다. 관람객 1500명이 몰렸다.한국데이터센터연합회와 전자신문이 공동 주최한 '2025 데이터센터 서밋 코리아'가 '지속가능한 데이터센터 산업 A to Z'를 주제로 14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렸다. 관람객 1500명이 몰렸다.

류태웅 기자 bigheroryu@etnews.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