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44년 OSS(CIA 전신)의 Simple Sabotage Field Manual이 제시한 조직 마비 전술이 현재 기업 문화와 놀랍도록 일치한다는 분석 사보타주 전술: "모든 것을 공식 채널로", "위원회에 넘겨라", "서면 명령 요구" 등이 오늘날 "데이터 있어요?", "리스크 관리는?"과 동일한 효과 직감(시스템1) vs 분석(시스템2) 이분법에서 후자만 신뢰하는 문화가 혁신의 적시타를 막고 평균으로의 수렴만 만든다는 주장 스티브 잡스의 아이폰, 넷플릭스의 콘텐츠 전략처럼 직감→실행→실패→교정 사이클을 빠르게 도는 것이 AI 시대의 차별화 전략 사업의 목적은 병살타 회피가 아닌 적시타이며, 완벽한 계획보다 빠른 실패와 피봇이 중요하다는 결론 OSS 사보타주 매뉴얼의 조직 마비 전술 매뉴얼은 32페이지 5개 섹션으로 구성, 폭탄이나 총이 아닌 일상적 행동으로 적국 조직을 내부에서 마비시키는 방법 제시 모든 것을 '공식 채널'을 통해 처리하고 지름길 차단 "Managers and Supervisors" 섹션: 서면 명령 요구 현대 기업 문화와의 일치점 직감으로 나온 아이디어를 데이터로 찍어누르고 직감과 데이터의 균형점 카네만의 이중 프로세스 이론: 시스템1(직관) vs 시스템2(분석) 성공 사례와 대안 제시 넷플릭스: 완벽한 시장조사 없이 직감과 경험으로 제작 → 출시 후 데이터로 다음 직감 교정 직감으로 빠르게 진행 결론 사업의 진짜 목적은 병살타 회피를 통한 평균 수렴이 아닌, 평균 이하를 감수한 적시타
"Organizations and Conferences" 섹션:
가능한 한 자주, 길게 연설
모든 안건을 '추가 연구와 검토'를 위해 위원회에 넘김 (최소 5명 이상)
중요한 일이 있을 때 회의 소집
지시사항 발행 절차와 승인 과정 증대
중요하지 않은 업무부터 배정
혁신을 위원회에 맡겨 평균으로 희석시키고
작은 리스크까지 길게 논의하며 시간 소모
기타노 유이가 『천재를 죽이는 범인』에서 지적한 평범한 사람(범인)의 안정 추구 성향과 연결
체스 마스터의 순간적 최적수는 시스템1의 무의식적 패턴 인식 덕분
AI가 모든 것을 평준화시키는 시대, 차이는 논리의 사각지대에서 번쩍 떠오르는 직감에서 발생
회사에서 "직감이에요"라고 말하는 순간 아이디어가 죽는 현실
스타트업 MVP: 2년간 완벽한 제품 개발 대신 빠른 프로토타입과 시장 테스트
핵심 전략:
실패 범위를 최소화 (망해도 죽지 않을 정도)
오토프시를 통한 직감 교정
병살타만 피하면 번트만 대고 점수는 안 남
매번 홈런만 노리면 삼진아웃만 증가
인스타그램 성공 브랜드: 데이터 기반 콘텐츠는 '평균적으로 좋지만' 기억 안 남 vs 직감 콘텐츠는 절반은 실패해도 나머지가 바이럴

1 month ago
16







![닷컴 버블의 교훈[김학균의 투자레슨]](https://www.edaily.co.kr/profile_edaily_512.png)

English (U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