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오롱베니트, “준비된 생태계로 AX 성과 달성 돕는다”

1 month ago 7
강이구 코오롱베니트 대표가 30일 오전 서울 용산구 서울드래곤시티 호텔에서 열린 '코오롱베니트 AX 부스트 서밋'에서 키노트 발표를 하고 있다. [사진=현대인 기자]강이구 코오롱베니트 대표가 30일 오전 서울 용산구 서울드래곤시티 호텔에서 열린 '코오롱베니트 AX 부스트 서밋'에서 키노트 발표를 하고 있다. [사진=현대인 기자]

“인공지능 전환(AX)은 결코 혼자 해낼 수 없습니다. 코오롱베니트가 준비된 생태계를 바탕으로 AX를 돕는 AX 인에이블러(조력자) 역할을 하겠습니다.”

강이구 코오롱베니트 대표는 30일 오전 서울 용산구 서울드래곤시티 호텔에서 열린 '코오롱베니트 AX 부스트 서밋'에서 회사 비전과 AX 생태계 전략을 소개하며 이같이 말했다.

강 대표는 “AI 서비스와 제품을 1년 넘게 개발한 후에야 고객에게 전달하는 기존 방식은 더 이상 통하지 않는다”며 “AX 성과의 핵심은 고객의 복잡한 비즈니스를 이해하는 도메인 지식과 빠르게 변화하는 트렌드를 반영한 솔루션, 기술적 접근성의 조화”라고 강조했다.

코오롱베니트의 준비된 AX 생태계로 이러한 조화를 만들어낼 수 있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IBM, 델 테크놀로지스, 레드햇 등 코오롱베니트와 총판사업을 전개하는 글로벌 정보기술(IT) 벤더사, 국내 비즈니스 파트너사, AI 얼라이언스 등 3요소를 갖춘 강력한 생태계로 AX 성과 속도를 높일 수 있다는 것이다.

강 대표는 특히 AI 서비스 상용화에 있어 'AI 얼라이언스'의 역할을 강조했다.

그는 “AI 얼라이언스는 AI 소프트웨어(SW) 기업, IT 시스템 공급 기업 등 80여개 기업으로 구성돼 협력하면서 신사업 발굴, 제품 상용화 등 실질 성과를 내고 있다”고 설명했다.

AI 얼라이언스 참여사 리벨리온도 코오롱베니트와 협력을 통해 신경망처리장치(NPU) 시장 공급 속도를 높일 계획이다.

이날 발표자로 나선 박성현 리벨리온 대표는 “정부 등에서 NPU 공급 관련 사업 요청이 많이 들어오지만 리소스가 부족해 실행하지 못 하는 경우가 많았다”면서 “코오롱베니트의 기술지원을 통해 내년부터 앞뒤 가리지 않고 사업을 펼쳐나갈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박 대표는 이어 “코오롱베니트와 협력해 서비스 연구개발(R&D), 고객 제품 데모·상용화 역할 등을 수행하는 'NPU 솔루션 센터' 구축도 기획 중”이라며 “이를 통해 고객 목소리와 산업현장 전문성을 다시금 녹여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박성현 리벨리온 대표(사진우측)와 강이구 코오롱베니트 대표(사진좌측)가 30일 오전 서울 용산구 서울드래곤시티 호텔에서 열린 '코오롱베니트 AX 부스트 서밋'에서 대담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현대인 기자]박성현 리벨리온 대표(사진우측)와 강이구 코오롱베니트 대표(사진좌측)가 30일 오전 서울 용산구 서울드래곤시티 호텔에서 열린 '코오롱베니트 AX 부스트 서밋'에서 대담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현대인 기자]

코오롱베니트는 이날 AI 통합 플랫폼 프롬튼도 공개했다.

이 플랫폼은 기업이 AI를 도입할 때 직면하는 △시스템과 AI 서비스 간 연결 △데이터 보안과 권한 통제 △모델 확장성 확보를 해결하는 솔루션이다.

코오롱베니트는 프롬튼을 통해 사내 데이터와 국·내외 AI 모델을 안전하게 연결하고, 다양한 AI 서비스와 도메인 특화 솔루션을 빠르게 적용할 수 있는 AI 허브를 구현했다.

이종찬 코오롱베니트 전무는 “프롬튼은 AI 얼라이언스 파트너사 솔루션과 연계를 강화하는 솔루션”이라며 “고객에게는 적시성 있는 AI 서비스 제공하고 파트너에게는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 창출을 지원하는 개방적 생태계를 지향한다”고 말했다.

현대인 기자 modernman@etnews.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