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취향은 **손으로 만지며 배우는 실험(팅커링)** 을 통해 얻는다

1 week ago 7

  • 다양한 기술과 도구를 직접 만지고 조정하는 ‘팅커링’ 행위가 개인의 학습과 성장에 핵심적임을 강조
  • 단순한 목표 달성이 아니라, 호기심과 즐거움 자체로 무언가를 시도하는 태도를 중시
  • 글쓴이는 프로그래밍을 포함해 여러 분야에서 늦게나마 실험적 학습을 시작했고, 이를 통해 자신의 취향과 실력을 형성했다고 회고
  • 팅커링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며, 불필요해 보이는 시도조차 장기적으로는 이해와 감각을 넓힌다고 설명
  • 다양한 시도를 통해 탁월함과 평범함을 구분하는 감각(취향) 을 기를 수 있으며, 이는 개발자에게 필수적인 자질로 제시

In Hindsight

  • 글쓴이는 어릴 때 기타, 미술, 무술 등 여러 활동을 시도했지만, 프로그래밍에서는 실험적 접근(팅커링) 을 하지 않았다고 회상
    • 비디오게임 제작에 대한 호기심은 있었으나 실제로 탐구하지 않았다고 언급
  • 나중에서야 새로운 것을 계속 시도하는 습관이 생겼으며, 지금은 그것이 학습의 핵심 방식이 되었다고 설명
  • 이러한 습관 덕분에 현재의 자신이 되었으며, 더 일찍 시작하지 못한 것을 아쉬워함

What the hell is tinkering?

  • 글쓴이는 FPS 게임의 마우스 감도 조정, Linux 배포판 설치 및 윈도 매니저 설정, 기계식 키보드 분해와 키캡 교체 등의 예시를 들어 ‘팅커링’을 설명
    • 이러한 행위는 실용적 필요 때문이 아니라, 자신만의 만족감과 맞춤화된 경험을 위해 하는 것이라고 정의
  • 사람을 두 부류로 나누어, 목표 달성을 위해서만 행동하는 사람그냥 해보는 사람이 있다고 구분
    • 이상적인 상태는 두 성향의 균형을 갖는 것이라고 제시
  • 인용문을 통해, “무언가를 만들고 버리는 행위가 곧 연습이며, 연습은 본질적으로 일시적이고 탐구적이며 자주 이루어져야 한다”는 견해를 덧붙임

My approach to tinkering

  • 글쓴이는 일부 개발자들이 VSCode 터미널만 사용하거나, vim 바인딩을 모르는 것, CLI 대신 GitHub Desktop을 사용하는 것을 예로 들며, 이는 나쁘다고 단정하지 않지만 기본 수준(minimum) 으로 봐야 한다고 주장
  • 자신은 매일 설정을 바꾸는 것은 아니며, neovim 설정의 마지막 의미 있는 변경이 6개월 전이었다고 언급
    • 즉, 지속적 실험과 안정적 사용의 균형이 중요하다고 강조
  • 과거에는 불필요해 보였던 여러 시도들이 결과적으로 프로그래밍에 대한 이해와 애정을 깊게 만들었다고 설명
  • 최근 일주일 동안은 GLSL 프래그먼트 셰이더 작성, Rust 프로시저 매크로, 템플릿 C++ , Swift 앱 개발, Helix 에디터 사용 등을 시도했다고 구체적으로 나열
    • Windows 개발에 대한 불만도 언급
  • 이러한 시도들은 의무가 아닌 순수한 재미로 한 것이며, 그 결과 새로운 지식과 경험을 얻었다고 밝힘
  • 배움에 쓴 시간은 결코 낭비가 아니다”라는 문장으로 이 단락을 마무리

Why taste matters, especially now

  • 좋은 취향(good taste) 은 다양한 것을 사용해 보고, 마음에 들지 않는 것은 버리고, 마음에 드는 것은 남기는 과정을 통해 형성된다고 설명
  • 여러 가지를 시도하지 않으면 좋은 취향을 얻을 수 없다고 명시
  • 여기서 말하는 ‘취향’은 평범함과 탁월함을 구분하는 능력으로 정의
    • 이는 주관적이며, 사람마다 다를 수 있지만, 남과 같은 취향을 가질 필요는 없다고 강조
  • 마지막으로, 현상 유지에 의문을 제기하고, 실험하고, 부수고, 이를 반복하라는 행동 지침으로 글을 마무리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