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민국의 인공지능(AI) 정책방향과 대전환 전략을 공유하고 실천 방안을 논의하는 장이 열렸다.
한국산업연합포럼과 한국디지털정책학회 등이 공동 주최한 '제4회 신정부의 AI 정책방향과 대응전략' 세미나가 23일 한국방송통신대 열린관 콘퍼런스룸에서 성황리에 열렸다. 이번 행사는 한국소프트웨어기술인협회, 한국생성형AI연구원, 인공지능연구원 등 주관과 다양한 후원 기관들의 참여로 개최됐으며, 산업계, 학계 및 관계 전문가 200여 명이 참석했다.
정만기 한국산업연합포럼 회장은 “AI는 국가 경쟁력을 좌우하는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자리 잡고 있다”며 “AI 전문 인력 부족, 데이터센터 공급, 전력망 확충, 중국 등 선진국 대비 경쟁력 제고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면서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중국은 바이두(Baidu), 딥시크(DeepSeek) 등과 같은 기업을 포함해 140만 개 이상 AI 관련 기업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러한 발전 양상은 우리가 주목해야 할 중요한 벤치마킹 사례”라며 “이번 세미나가 대한민국의 AI 3강국 도약을 이끄는 실천적 논의의 출발점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AI 시대의 도래와 미래 전망'이란 주제의 발제를 맡은 유정수 전주교육대 교수는 디지털 대전환(DX) 시대에서 AI의 핵심 역할을 강조하며, 생성형 AI가 공급망, 고객 경험, 교육, 콘텐츠 생성 등 다방면에서 효율성과 창의성을 높이고 있음을 다양한 글로벌 사례로 제시했다. GenAI는 단순한 자동화를 넘어 사고방식 변화를 요구하는 '차세대 범용기술'이라며, 문화적 이해와 사회적 협업 능력을 겸비한 인재 양성 중요성을 역설했다.

'신정부의 AI 정책 방향과 영향'이라는 주제 발표에서 노규성 한국생성형AI연구원장은 이재명 정부의 '진짜성장' 전략을 중심으로, AI를 통한 국가 경쟁력 강화 방안을 제시했다. 그는 '3·3·5 비전'--AI 3강국 도약, 잠재성장률 3%, 국력 5위 진입--을 실현하기 위한 핵심 정책으로 AI 인프라 확대, 소버린 AI 개발, 공공-민간 공동 투자 확대를 제시했다.
AI 생태계 조성을 위한 전국 단위의 인프라 구축, GPU 확보, 지역 클러스터 조성 등도 주요 과제로 언급됐다. 소버린 AI와 AI 반도체, 국산 LLM 개발 등 기술 주권 확보 중요성이 강조됐으며, AI 기업 성장을 위한 규제 완화와 민관 협력 필요성도 함께 언급됐다.
아울러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정책 개편과 글로벌 인재 유치 전략도 제시됐으며, 이러한 노력이 산업 혁신과 사회 구조 전환으로 이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노 원장은 이 같은 종합 전략이 대한민국을 지속가능한 AI 강국으로 이끌 수 있다고 밝혔다.

마지막으로 '신정부 정책 기조와 선제적 AI 대응전략'이란 주제로 발제를 한 임춘성 인공지능연구원 부사장은 산업·경제·교육·공공서비스 각 분야에서 AI가 미칠 구조적 전환을 분석하고, AI로 인한 일자리 변화에 대한 대응 전략을 발표했다. 그는 AI가 단지 일자리를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고부가가치의 '좋은 일자리'를 창출하는 원동력이 될 수 있다고 강조하며, 프롬프트 디자이너, AI 윤리 전문가 등 미래 직업군을 제시했다.
이번 세미나는 정부 정책의 현실적 이해를 높이고 민간의 실천적 대응을 유도하는 데 큰 의미가 있으며, 민관이 원팀이 돼 AI 경쟁력 강화에 총력적으로 다함으로써 대한민국이 글로벌 AI 선도국가로 도약하는 데 큰 기여를 할 것으로 평가된다.
김현민 기자 minkim@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