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구민의 테크읽기] 친환경 해양 모빌리티와 정책적 지원의 필요성

1 month ago 6
정구민 국민대 전자공학부 교수.정구민 국민대 전자공학부 교수.

지난달 30일 국회의원회관에서 더불어민주당 위성곤·문대림 의원이 주최하고, 한국모빌리티학회·국제e모빌리티엑스포·한국수소연합이 주관하는 '친환경 해양 모빌리티 산업발전 방안' 세미나가 열렸다.

행사는 친환경 해양 모빌리티 시대를 선도하기 위해 우리나라 산업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자 마련됐다. 최근 국제해사기구(IMO)의 탄소부담금 부과가 가시화되면서 친환경 해양 모빌리티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행사에 참가한 전문가는 공통적으로 기술적 진화와 관련 표준화 및 제도적인 뒷받침과 정책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밝혔다. 현재 배터리 기반 전기 추진 선박은 단거리와 근거리 해역 위주로 상용화가 진행 중이다. 장거리 운송으로는 액화천연가스(LNG), 그린메탄올 등 친환경 선박을 거쳐 대형 수소 선박으로의 진화가 예상된다.

앞으로 친환경 선박의 대대적인 상용화는 전기차 상용화와 유사한 과정을 겪게 될 가능성이 높다. 친환경 선박 관련 기술 확보와 충전 및 연료 공급 인프라 구축, 가격 경쟁력을 위한 보조금 제도 정립, 수십 년 운행을 위한 내구성 확보, 새로운 친환경 선박을 위한 인증 체계 구축, 친환경 선박 운영을 위한 제도적인 정립 등이 요구된다.

대형 선박 친환경 전환에는 제조 비용·인프라 비용·내구성 검증 등의 측면에서 기존 선박과 가격 경쟁력 확보가 중요하다. 이에 가격 경쟁력과 내구성을 갖춘 친환경 선박 제조 기술이 가장 중요한 이슈가 된다. 다른 측면에서는 인공지능(AI)과 디지털 트윈 기술 발전과 고령화와 인구 감소가 맞물리며 AI와디지털 트윈 활용, 로봇 용접와 제조 기술 활용, 자율운항 선박 등 제조·운영 자동화도 기술적으로 큰 이슈로 떠오른다. 또, 운영과 제도적인 문제도 중요하다. 대규모 운행을 위해 충전 및 연료 공급 인프라를 어떻게 가져갈 것인가라는 문제도 남았다. 여기에 친환경 선박 인증 체계와 선박 운영을 위한 제도적인 정립이 핵심이 되고 있다.

한국모빌리티학회 부회장을 맡고 있는 박한선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선임연구위원은 기조 발제를 통해 친환경 선박과 자율운항선박 기술을 바탕으로 2050년 '100% 탄소 중립 실현' '완전 자율운항' '시장 점유율 32.2%로 754조원 매출'의 3대 목표를 제시했다. 자율운항 선박 업체 HD현대 아비커스 임도형대표는 자율운항을 통한 7% 연료 감축과 향후 국제표준대응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현대자동차 이근제 실장은 수소연료전지 기술을 수소차에서 상용 트럭·건설 장비·수소 선박으로 확장하며 가격 경쟁력을 갖춰 나갈 수 있으며, 향후 국제규제 대응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토론에 나선 안광헌 HD현대 상임고문은 친환경 선박 기술 확보의 중요성과 AI 및 디지털 트윈 기술 개발과 인력 양성의 중요성, 국제 표준화와 규제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을 주문했다. 정종택 카네비모빌리티 회장은 전기차의 경험을 전기 추진 선박으로 확장하면서 조선 산업과 친환경차 부품 산업의 융합이 향후 경쟁력 확보의 핵심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추가로 행사에서는 전기 추진 선박 인증 체계 정립, 친환경 선박과 자율운항 선박에 대한 보조금에 대한 요청도 있었다. 새로운 모빌리티 기기의 등장과 함께 지원 제도의 정립이 필요해지는 상황이다. 또, 전기차·수소차·자율주행차 등 자동차 시장 경험을 해양 모빌리티 발전에 참고하고, 친환경 자동차 부품 생태계와 친환경 해양 모빌리티의 융합을 강조하기도 했다.

앞으로 친환경 해양 모빌리티 발전을 위해서 기술 개발·인증 체계 구축·국제 표준 및 규제 선제 대응·지원 제도 정립·이종 산업 협력 등이 중요 이슈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친환경 해양 모빌리티에 대한 많은 관심과 지원으로 미래 시장을 주도하고 우리나라 경제에 큰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정구민 국민대 전자공학부 교수 gm1004@kookmin.ac.kr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