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리눅스폰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함

5 hours ago 1

  • 최근 Android 생태계의 폐쇄화가 급격히 진행 중임
  • 주요 제조사들이 부트로더 언락 차단 등으로 기기 개방성을 제한함
  • Google Play Integrity API 적용으로 사용자의 OS 레벨 계정 로그인이 필수화되는 변화가 발생함
  • 독립 개발자 및 오픈소스 개발자의 Android 앱 개발 난이도가 높아져 일부 프로젝트는 중단 진행 중임
  • 이에 따라 대안 모바일 OS, 특히 리눅스폰 개발의 시급성이 강조되는 현상임

서론

최근 Android 환경은 개방성 대신 폐쇄성 강화 쪽으로 급격히 이동하고 있음

Android 생태계의 폐쇄화

  • Google은 AOSP(Android Open Source Project)에서 점점 더 많은 핵심 구성요소의 개발을 비공개로 전환하는 움직임을 보임
  • Samsung, Xiaomi, OnePlus 등 주요 제조사들이 모든 기기에서 부트로더 언락(잠금 해제) 기능을 제거하며 사용자 제약 증가 현상이 나타남
  • Google도 향후 동참할 것으로 예상됨

Google의 통제 강화 정책

  • Google은 Play Integrity API를 강제로 도입하고 관련 기능 구현을 개발자들에게 권장하는 중임
    • 이로 인해 Google Play Store 앱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시스템 전체 수준의 OS 계정 로그인이 필요해짐
    • 심지어 유럽연합(EU)에서 요구하는 신원 인증용 공식 앱조차 이 정책을 따르면서 논란이 발생함
    • Github 등에서 오픈소스 개발자들의 반발이 이어짐
  • Android 시스템에는 개발자 검증(verification) 의무화도 도입될 예정임
    • 3rd-party OS에는 직접 영향이 없지만, 대부분의 Android 장치가 영향권에 들어감
    • 앞으로는 많은 오픈소스 개발자들이 Google 정책에 반발해 아예 Android 앱 개발을 포기할 가능성이 커짐

오픈소스 Android 앱 개발의 위기

  • 실제로 SyncThing 프로젝트는 Google Play 정책 문제로 Android 앱 개발을 중단함
  • NextCloud 앱의 업데이트도 Google에 의해 여러 차례 거부당함(사유 미공개), 그나마 대규모 항의 이후에만 복구됨
  • Google은 광고 차단 등 사용자 주권을 강화하는 소프트웨어를 “위험”, “신뢰 불가”로 지정하는 정책까지 진행 중임
  • 이러한 일련의 검증·통제 방식이 앞으로 더욱 적용될 전망임

대안 OS의 필요성

  • 과거에는 Google과 Apple의 플랫폼 경쟁이 존재했으나, 최근 대형 반독점 재판 등에서 Google이 특별한 제재 없이 넘어가며 현실적 경쟁이 사라진 상황임
  • Google은 Apple의 시장 통제 방식을 참고하며, Android의 개방성을 포기하는 방향으로 가고 있음
  • 현재의 Android는 더 이상 “오픈 플랫폼”이라 보기 어렵고, 머지않아 이전의 개방성을 완전히 상실할 위험에 직면함

결론: 리눅스폰 개발의 시급함

  • 시장 내 경쟁 약화 및 Google의 지속적 통제 강화로 인해, 오픈 대체 OS, 특히 리눅스폰 개발 가속화 필요성이 매우 높아짐
  • 지금 즉시 사용하라는 의미는 아니지만, 개발 및 성숙화의 속도가 반드시 촉진되어야 함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