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한 끌개 (Strange Attractors)

1 week ago 5

  • Three.js를 활용해 이상한 끌개(Strange Attractors) 를 시각화한 프로젝트로, 단순한 수학 방정식에서 복잡하고 아름다운 패턴이 생성되는 과정을 보여줌
  • 동역학 시스템(Dynamical Systems)혼돈 이론(Chaos Theory) 의 기본 개념을 설명하며,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시스템의 상태와 그 진화를 결정하는 규칙을 중심으로 구성
  • 이상한 끌개는 프랙탈 구조, 초기 조건에 대한 민감성, 비주기적 궤적, 혼돈 속의 질서 등 네 가지 특징으로 정의됨
  • 버터플라이 효과를 Thomas Attractor의 시각화로 보여주며, 매개변수 a의 미세한 변화가 전혀 다른 패턴을 만들어내는 과정을 제시
  • GPU 기반 핑퐁 렌더링(ping-pong rendering) 기법을 사용해 수천 개의 입자를 효율적으로 계산하고 렌더링함으로써 실시간 시각화 구현

동역학 시스템과 혼돈 이론

  • 동역학 시스템은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현상을 수학적으로 모델링하는 방법으로, 행성의 움직임, 인구 성장, 주식 시장 등 다양한 예시 포함

    • 시스템의 가능한 모든 상태를 나타내는 위상 공간(Phase Space) 과, 한 상태에서 다음 상태로 이동시키는 동역학(Dynamics) 으로 구성
    • 예를 들어 인구 성장 모델에서는 인구 규모와 성장률이 위상 공간의 상태를 이루며, 출생률·사망률·환경 수용력 등이 동역학을 결정
  • 혼돈 이론(Chaos Theory) 은 예측 불가능한 시스템을 연구하는 분야로, 자연계의 많은 현상이 이러한 비선형적·민감한 시스템에 속함

    • 규칙은 존재하지만 불완전한 정보로 인해 예측이 불가능해지는 현상을 설명
    • 초기 조건의 작은 차이가 결과를 크게 바꾸는 버터플라이 효과가 대표적 특징

끌개(Attractor)와 이상한 끌개(Strange Attractor)

  • 끌개(Attractor) 는 시스템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수렴하는 상태 집합으로, 예를 들어 진자의 정지점이 이에 해당

    • 끌개로의 수렴은 안정성, 에너지 소산(Dissipation) , 수축(Contraction) 등의 요인에 의해 발생
  • 이상한 끌개(Strange Attractor) 는 복잡한 비선형 방정식으로 인해 예측 불가능한 궤적을 보이는 끌개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짐

    1. 프랙탈 구조: 다양한 스케일에서 반복되는 복잡한 패턴
    2. 초기 조건 민감성: 작은 변화가 전혀 다른 결과로 이어짐
    3. 비주기적 궤적: 동일한 경로를 반복하지 않음
    4. 혼돈 속의 질서: 무작위처럼 보이지만 내부에 일정한 구조 존재

버터플라이 효과와 Thomas Attractor 시각화

  • 버터플라이 효과는 작은 변화가 장기적으로 큰 차이를 만드는 현상으로, “중국의 나비 날갯짓이 카리브해의 허리케인을 일으킨다”는 비유로 설명됨
  • Thomas Attractor의 매개변수 a 값을 0.10, 0.13, 0.19, 0.21 등으로 바꾸면 입자 궤적과 전체 형태가 완전히 달라짐
  • 초기 상태를 cube와 sphere surface로 바꾸면 입자들이 서로 다른 경로를 따라가지만, 결국 동일한 끌개 상태로 수렴함

구현 세부 사항

  • 시각화는 Three.js를 사용해 다수의 입자를 GPU에서 직접 계산·렌더링
  • 핑퐁 렌더링(ping-pong rendering) 기법을 통해 CPU와 GPU 간 데이터 전송을 최소화하고, 두 개의 프레임 버퍼 객체(FBO) 를 번갈아 사용
    • ping과 pong 버퍼가 각각 현재 상태와 다음 상태를 저장
    • 셰이더 프로그램이 각 입자의 위치를 끌개 방정식에 따라 업데이트
    • 매 프레임마다 버퍼를 교체하며 새로운 입자 상태를 렌더링

참고 및 추가 자료

  • 관련 자료로 Maxim의 Attractor 시각화, Wikipedia: Attractor, List of Chaotic Maps, WebGLFundamentals: Ping Pong Rendering 등이 인용됨
  • 추가 예시로 chaoticatmospheres.com, dynamicmath.xyz, Reddit r/generative 등에서 3D 끌개 시각화 사례 제시
  • 블로그의 GitHub Discussion 페이지에서 피드백을 받고 있으며, 향후 블로그 통합 예정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