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마다 푹푹 찝니다. 지칠 줄 모르는 폭염, 맞습니다. 가마솥더위 한증막더위 찜통더위 불볕더위, 그 어떤 비유도 과하지 않습니다. 더위가 든 말이 궁금해졌습니다. 강더위는 오랫동안 비가 오지 않고 볕만 내리쬐는 심한 더위랍니다. 된더위는 몹시 심한 더위이고요. 무더위는 습도와 온도가 매우 높아 찌는 듯 견디기 어려운 더위입니다. 삼복더위, 복더위와 비슷한 말로는 복달더위가 있고요. 한창 심한 더위는 한더위, 여름이 다 가도록 가시지 않는 더위는 늦더위랍니다. 올여름에는 늦더위라도 없길 바라 마지않습니다.
어느 지역에서는 더위가 더우입니다. "나야 머 이렇게 야윈 사람이 더우를 타우? P씨야말로 얼마나 부대끼시오?"(채만식/明日) 하는 용례가 있습니다. '더우를 타우' 대목에서, 그래 바로 이 말맛이야 하는 느낌이 듭니다. 요즘처럼 날이 더울 땐 더위먹지 않게 조심해야 합니다. [더위먹다]는 더위 때문에 소화 기능이 약화하거나 하는 병증이 생긴다는 뜻입니다. '더위먹은 소 달만 보아도 헐떡인다'는 어떤 일에 크게 욕을 본 사람은 그와 비슷한 일만 당해도 지레 겁을 먹는다는 말입니다. 자라 보고 놀란 가슴 소댕(솥뚜껑) 보고 놀란다는 말과 의미가 비슷합니다.
이미지 확대
[김민아 제작] 일러스트
[더위잡다]에서 더위는 여태껏 쓴 더위와 다르게 보입니다. 높은 곳에 올라가려고 무엇을 끌어 잡는다거나 의지가 될 수 있는 든든하고 굳은 지반을 잡는다는 뜻이니까요. [쥐는 본래 좀도적이라 피해도 적지만 너는 이제 힘 세고 기세 높고 마음씨 사나와 쥐로서는 못하는 짓 마음대로 저지르며, 처마를 더위잡고 뚜껑을 여닫으며 담벽까지 허물어뜨리누나](황석영/張吉山)라는 표현이 발견됩니다.
더위 하면 여름입니다. [여름 난 중의로군] 합니다. 남자의 여름 홑바지가 중의(中衣)입니다. 여름 내내 입은 중의, 그 상태가 짐작되나요? 그런 중의처럼 형편없이 됐으면서 장담만 남아 있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입니다. [여름 불도 쬐다 나면 섭섭하다] 합니다. 당장에 쓸데없거나 대단치 않게 생각되던 것도 막상 없어진 뒤에는 아쉽게 생각된다는 말입니다. 오뉴월 겻불도 쬐다 나면 서운하다(섭섭하다) 하는 말도 비슷한 의미로 쓰입니다. 겻불은 겨를 태우는 불입니다. 불기운이 미미합니다. 곁불과 다릅니다. 얻어 쬐는 불, 옆에서 빌붙어 쬐는 불이 곁불이니까요. 곁불은 가까이하여 보는 덕으로 뜻이 확장되어 쓰입니다. 겻불과 곁불이 다르다고는 하지만 '양반은 얼어 죽어도 겻불은 안 쬔다'라는 말에는 곁불을 써도 문장 의미가 변하지 않습니다. 그런데 이거 참말인가요? 조금만 추워도 겻불이건 곁불이건 마구들 쬐는데요. 예나 지금이나 그런 양반들 흔한데도요. (서울=연합뉴스, 고형규 기자, uni@yna.co.kr)
※ 이 글은 다음의 자료를 참고하여 작성했습니다.
1. 고려대 출판부, 한국 현대소설 소설어사전, 1998
2. 최종희, 『고급 한국어 학습 사전』(2015년 개정판), 커뮤니케이션북스, 2015
3.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온라인)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2025년07월10일 05시55분 송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