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자칼럼] 두 번 접는 폰

8 hours ago 2

입력2025.07.10 17:37 수정2025.07.10 17:37 지면A35

[천자칼럼] 두 번 접는 폰

‘접는 폰’의 시초는 2000년대 초반 모토로라의 ‘스타텍’과 삼성전자의 ‘애니콜’이다. 당시 폴더폰은 콤팩트한 디자인과 액정을 보호하는 실용성, 그리고 전화를 끊을 때 ‘탁’하고 닫는 특유의 감성으로 큰 인기를 끌었다. 더 넓은 화면에 대한 갈망으로 탄생한 요즘 폴더블폰과는 개념이 조금 다르지만 ‘접는다’는 행위를 통해 휴대성과 편의성을 동시에 추구했다는 점에서는 맥을 같이한다.

삼성전자는 2019년 첫 ‘갤럭시 폴드’를 출시하며 폴더블폰 시장을 개척했다. 고사양 카메라, 고화질 디스플레이 등 스마트폰 사양이 상향 평준화하자 폼팩터(외형) 혁신으로 차별화를 꾀한 것이다. 하지만 첫 제품은 접었을 때 두께가 17.1㎜, 무게는 276g으로 묵직했다. 지금의 두 배 정도로, 일부 소비자 사이에선 ‘벽돌’이라는 조롱을 듣기도 했다.

지난 9일 미국 뉴욕에서 공개된 갤럭시 Z폴드7의 두께는 8.9㎜, 무게는 215g에 불과하다. 작년에 나온 폴드6보다 각각 3.2㎜, 24g 줄었다. 두께 0.1㎜를 줄이기 위해 들어가는 노력과 투자를 감안하면 ‘하드웨어 분야의 혁신’이라는 평가가 나올 만하다.

삼성전자는 연내 두 번 접는 ‘트라이폴드폰’도 선보일 예정이다. 이미 제품 개발은 끝났고 폰 이름을 짓는 중이라고 한다. 지난해 3월 미국에서 트리플 폴더블·롤러블 디스플레이 특허를 취득한 게 알려지면서 제품 출시 시기가 모두의 관심이었다.

앞서 중국 화웨이는 지난해 9월 트라이폴드폰 ‘메이트 XT’를 선보였다. 세계 최초라는 타이틀이 붙긴 했지만 두께가 12.8㎜로 두껍다. 샤오미 아너 등 중국 업체에 이어 애플도 내년 폴더블폰을 내놓는다고 한다. IDC에 따르면 지난해 세계 폴더블폰 시장 점유율은 삼성전자(33%) 화웨이(23%) 모토로라(17%) 아너(10.4%) 등 순이다.

세계 폴더블폰 출하량은 전체 스마트폰 출하량의 2% 정도로 아직 크지 않다. 하지만 이를 놓고 글로벌 업체 간 패권 경쟁은 그 어느 때보다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다. 지난 6년간 이 시장을 선도해 온 삼성전자가 트라이폴드폰 출시를 통해 더욱더 치고 나가길 기대해 본다.

서정환 논설위원 ceoseo@hankyung.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