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子) 축(丑) 인(寅) 묘(卯) 진(辰) 사(巳) 오(午) 미(未) 신(申) 유(酉) 술(戌) 해(亥).
육십갑자의 아래 단위를 이루는 요소, 즉 지지(地支)입니다. 열두 개여서 십이지(十二支), 십이지지(十二地支), 십이진(十二辰) 등 이름이 여럿입니다.
이것으로 시간을 나타낼 때가 있습니다. 자정(子正)이 그중 하나입니다. 자정 외에 정오(正午)도 자주 쓰입니다.
자시는 23시부터 이튿날 01시까지를 말합니다. 23시, 즉 밤 11시는 자초(子初)라고 하고요. 오늘의 주인공, 밤 12시이자 동시에 다른 하루의 시작인 00시는 자정이라고 합니다. 01시는 자말(子末)이겠지요. 이 원리로 축(01∼03) 인(03∼05) 묘(05∼07)시 하고 주욱 한 바퀴 돌면 24시간이 다 표현됩니다. 논리적으로 보면 01시 무렵은 자말시일 수도, 축초시일 수도 있겠지요. 02시는 축정, 03시쯤은 축말이자 인초시에 해당하겠고요.
이미지 확대
[촬영 이상학]국립중앙박물관
자정의 뜻이 이런 만큼 갑순이가 '24일 자정까지 리포트 끝내라' 하고 갑돌이한테 말하면 갑돌이는 헷갈립니다. 24일 24시(24일 밤 12시)이냐, 24일 00시(23일 밤 12시)이냐 하는 것이지요. 갑순이는 말을 그렇게 하는 게 아니었습니다. 옛말 사랑이 지극한 것은 알겠지만, 연인 사이에 모호한 단어를 골라 쓰면 오해만 심해질 테니까요. 알아보니 갑순이는 개시한다는 개념으로 자정을 00시로 사용했다고 하네요. 갑돌이는 오늘 안에 부지런히 리포트를 끝내야겠습니다.
그렇다면 '정오 뉴스가 곧 방송됩니다' 할 때 정오는 무엇일까요? 오정(午正)의 앞뒤 음절을 바꾼 겁니다. 12시이겠지요. 점심쯤에 듣는 말입니다. 정확한 의사소통이 필요할 땐 오인되지 않을 말을 써야 합니다. 오전 3시, 오후 5시처럼 오전/오후로 나누어 쓰되 12시에 대해서는 낮 12시, 밤 12시 하는 식으로 말입니다. 경우에 따라 새벽, 저녁 같은 말도 가져다 쓰고요. (서울=연합뉴스, 고형규 기자, uni@yna.co.kr)
※ 이 글은 다음의 자료를 참고하여 작성했습니다.
1.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온라인)
2. 네이버 고려대한국어대사전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2025년05월23일 05시55분 송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