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계 “지방 AI 데이터센터 분산 위한 인센티브 확대해야”

8 hours ago 1
7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박충권 국민의힘 의원이 주최한 '지속가능한 AI 데이터센터 구축 전략 세미나'가 진행됐다. [사진=현대인 기자]7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박충권 국민의힘 의원이 주최한 '지속가능한 AI 데이터센터 구축 전략 세미나'가 진행됐다. [사진=현대인 기자]

“지방은 전력이 있지만, 통신이나 도로 등 기본 인프라가 갖춰지지 않아 글로벌 클라우드서비스제공사(CSP) 대상 데이터센터 유치가 어렵습니다.”

하민용 SKT AIDC 사업부 부사장은 7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지속 가능한 AI 데이터센터 구축 전략 세미나' 패널토론에서 이 같은 점을 호소했다.

SKT는 아마존웹서비스(AWS)와 울산에 100㎿(메가와트) 규모 초대형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를 짓기로 했다.

하 부사장은 “울산에 에너지 공급을 잘 할 수 있는 밸류체인이 갖춰져 있고, 수도권과 연결할 수 있는 통신 인프라를 구축할 수 있었다”면서도 “지방엔 데이터센터를 운용하기 위한 인력 확보가 어렵고, 지방세 감면·보조금 지원 등 재정 지원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채효근 한국데이터센터연합회 전무는 “지방에는 전기료가 보다 싼 것도 아니고, 수도권과 동일한 전력계통영향평가 기준을 적용받는다”며 “기업들이 (AI 데이터센터를 위해) 지방에 갈 매력이 없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이 시설(AI 데이터센터)은 정부가 적자를 보더라도 선투자해줘야 AI가 발전한다”고 덧붙였다.

정부는 AI 데이터센터에 필요한 전력 수요를 완화하기 위해 지방 분산 정책을 펴고 있다.

최성준 산업통상자원부 전력계통혁신과장은 “현재 수도권 내 50~100㎿ 규모 데이터센터 짓기를 이한 전력계통영향평가를 신청한 건수가 300여개”라며 “100㎿ 규모 데이터센터의 전력 사용량은 5만 가구 규모 신도시 한 곳의 전력 사용량과 비슷하다”며 수도권 전력 수요의 완화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어 최 과장은 “분산에너지특구에 입주하는 경우엔 전력계통영향평가를 간소화하는 것을 시도하고 있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함께 전력계통영향평가 완화도 계속 논의하고 있다”며 “과기정통부, 업계와 지속 논의해 업계 애로사항이 없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현대인 기자 modernman@etnews.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