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식 해산물의 문제

5 days ago 6

  • 전 세계 양식 산업이 바다에서 잡은 먹이 어류(anchoveta, 정어리, menhaden 등) 를 갈아 만든 사료에 의존하며, 이는 해양 생태계의 기반을 약화시키는 구조
  • 전체 먹이 어류의 90% 가 인간이 직접 먹지 않고, 연어·새우 등 양식 어류의 사료로 사용되는 현실
  • F3 Challenge는 해양 동물 성분이 없는 사료 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만들어진 국제 대회로, 식물·조류·박테리아·곤충 단백질 등 다양한 대체 원료를 실험
  • Evergreen Feed, Veramaris, BRF, Symrise 등 기업들이 식물성 혼합물, 조류 오메가3, 닭 단백질 가수분해물 등으로 수억 마리의 먹이 어류 절감 성과 달성
  • 이러한 변화는 해양 생태계 보전과 식량 안보, 기후 대응을 동시에 가능하게 하는 지속 가능한 수산업 전환의 핵심 과제

바다를 고갈시키는 양식 구조

  • 태평양의 anchoveta는 한때 바다 생태계의 핵심 먹이였으나, 현재는 대부분 사료용 분말과 오일로 가공됨
    • 인간이 잡는 먹이 어류의 90%가 양식 사료로 전환
    • 이로 인해 바다새·물개·고래 등 상위 포식자들이 먹이를 잃고 생태계 균형이 붕괴
  • 2016년과 2023년 페루의 anchoveta 어획량 급감으로 어업이 중단되고, 사료 가격 상승과 생태 피해가 발생
  • 애리조나대 Kevin Fitzsimmons는 “야생 해양 동물 성분 의존은 양식 공급망의 약한 고리이며, 세계 해산물 안보를 위협한다”고 지적

F3 Challenge와 대체 사료 혁신

  • Fitzsimmons가 주도한 F3 Challenge는 2015년 시작된 해양 동물 성분 없는 사료 개발 경연
    • 정부 규제나 재단 지원 대신 상금 경쟁 방식으로 혁신 유도
    • 목표는 야생 어류 의존도 감소지속 가능한 해산물 시스템 구축
  • Evergreen Feed(중국) 는 식물성 혼합물로 3억5천만 마리 먹이 어류 절감
  • Veramaris(네덜란드·미국 합작) 는 조류 배양으로 어유 대체 오메가3 지방산 생산
  • 에콰도르·일본 기업은 새우·도미용 비해양성분 사료 개발 성공

새로운 대체 원료와 기술

  • BRF(브라질)닭 단백질 가수분해물, Symrise(독일)향미 기술을 활용해 크릴 대체 사료 개발
  • 최신 대회는 양식장 전체가 해양 성분 없는 사료만 사용하는 운영 모델을 평가
  • 대체 원료에는 다음이 포함됨
    • 조류 발효기: DHA·EPA 생산
    • 박테리아 배양: CO₂·메탄을 단백질로 전환
    • 곤충(블랙솔저플라이) : 음식물 쓰레기로 단백질 생산
    • 효모·콩·완두 단백질: 아미노산 조성 조절로 어분 대체

개방형 협력과 산업 변화

  • Future of Fish Feed 연합은 Feed Innovation Network를 구축해
    • 사료 조리법, 실험 결과, 프로토콜을 공개 공유
    • 비밀 유지가 일반적이던 산업에 개방과 협력 문화 확산
  • 에콰도르 새우 양식장, 미국 농어 양식장 등에서 대체 사료 실증 시험 성공
  • 이러한 변화는 해양 생태계 보전과 산업 지속성 확보를 동시에 달성

해양 생태계와 인류의 미래

  • 먹이 어류 고갈바다새 굶주림, 고래의 침묵, 물개 감소로 이어짐
  • 양식 산업의 지속 가능성먹이 어류 의존 탈피에 달려 있음
  • 박테리아·조류 기반 사료탄소 폐기물 활용을 통해 기후 회복 기여 가능성 제시
  • 미래에는 “fish-free feed” 라벨이 “grass-fed” 처럼 지속 가능한 소비의 상징이 될 전망
  • Fitzsimmons는 “바다의 압력을 줄이고, 의존에서 벗어나는 사료를 만들어야 인류의 미래가 지속 가능하다”고 강조

결론

  • 양식 사료 혁신은 해양 생태계·식량 안보·기후 대응의 교차점에 위치함
  • F3 Challenge는 단순한 기술 경연이 아니라, 인류가 자연과 협력해 생태 기반을 재구성하는 전환점

“물고기의 미래는 사료의 미래이며, 사료의 미래는 인류의 미래”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