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애플의 최근 행보에서 특별함과 차별성이 줄어드는 현상에 실망감이 커짐
- 소프트웨어와 인터페이스의 수준 저하가 업계에 악영향을 미칠까 우려함
-
신제품 이벤트의 연출 방식이 과도한 마케팅 위주로 느껴짐
- 새로 발표된 iPhone Air 등 제품들에 대해 실질적 혁신이 부족
-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괴리가 커지고 있어 애플의 가치가 훼손될 가능성이 있음
서론: 애플과의 거리감
- 최근 애플의 소식과 제품에 점점 더 관심을 잃어가는 현상 설명
- 예전처럼 특별하고 차별화된 존재감이 줄어들면서, 애플이 대형 IT 기업들과 비슷해졌음
- 여전히 애플이 나쁜 선택을 할 때 화가 나는 것은, 업계에 미칠 파장에 대한 걱정 때문임
- 개인적으로 이제 애플 자체보다, UI와 소프트웨어 설계의 퇴행이 타사에도 퍼질까 걱정함
Steve Jobs의 유명한 인용구와 애플의 자기 인식
- 행사에서 사용된 Steve Jobs의 "Design is how it works" 라는 인용구에 위화감을 느낌
- 이 인용구를 쓴 의도에 대해 세 가지 해석 제시
- 비판자들을 겨냥한 도발적 마케팅일 수 있음
- 애플이 정말 진심으로 자신들이 Jobs의 철학을 따르고 있다고 착각하는 자기기만일 수 있음
- 단순히 인상적인 말로 효과만 노린 연출일 수 있음
- 어떤 해석이 맞든, 실제 애플의 제품 설계와 소프트웨어 방향성은 이 인용구와 상반됨
AirPods, Apple Watch 등 소형 기기에 대한 비판
- AirPods, HomePod, Apple TV 등 카테고리에 개인적 관심이 적음
-
Apple Watch 디자인이 전통적으로 매력적이지 않으며 기능이 과하게 많아 복잡해졌음
- 특정 기능만 남겨 단순한 기기로 설정할 수 있으면 좋겠음
- 이벤트에서 소개되는 감동적인 마케팅 영상이 지나친 상업적 활용으로 진정성 결여로 느껴짐
- AirPods처럼 배터리 교체가 어려운 완전 무선 이어폰 카테고리는 전자 폐기물 문제로 회의감이 듦
새로운 iPhone 라인업 평가
- 신형 iPhone의 구매를 굳이 권하지 않음
- Anil Dash의 글(How Tim Cook sold out Steve Jobs)을 참고하면 현 상황을 잘 이해할 수 있음
-
iPhone 17
-
iPhone 17은 무난하고 점진적인 발전형 제품으로, 평균 사용자를 위한 최적화된 선택임
-
iPhone 17 Pro
-
iPhone 17 Pro는 전문 영상 촬영에 특화된 기능으로 일반 사용자에게는 불필요한 고가형임
- 가격이 비정상적으로 높아졌고, SSD 확장 등으로 비용이 더 커지는 부담이 있음
-
iPhone Air
-
iPhone Air에 대해 Marques Brownlee 등 주요 테크 유튜버들도 회의적임
- 매우 얇고 가벼운 디자인에 집중했으나, 실질적으로 내구성, 발열, 배터리 용량 등에서 명확한 타협이 존재함
- 배터리 문제 때문에 전용 MagSafe 배터리 액세서리가 같이 발표되어, 얇은 디자인의 의미를 상쇄함
- 전 세계적으로 eSIM 전용, mmWave 5G 미지원, 더 비싼 가격 등 논란 요소 많음
- 기획 자체가 일종의 신기능 실험 혹은 미래적 컨셉의 테스트라는 평가임
- 과거 MacBook Air, iPad Air처럼 'Air' 네이밍에 걸맞지 않은 크기와 컨셉 변화가 반복되고 있음
- 얇기 외에 뚜렷한 실용적 이점이 없어 보이며, 작고 가벼운 iPhone mini 계열을 선호하는 사용자가 여전히 많음
새로운 제품의 '경이로움'의 부재
- 발표된 신제품에서 진정한 혁신이나 '와!'라는 기술적 돌파구를 느끼지 못함
- 애플이 더 얇은 아이폰, 더 좋은 카메라, SoC 등의 반복적 개선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예상된 범위 내 성과임
- 새로운 기능이나 진짜 혁신이 아닌 '충분히 그럴 수 있는 진화'를 보여줬을 뿐임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괴리
- 진정으로 감탄할 만한 것은 하드웨어적 새로운 돌파구보다는 사용자 경험의 혁명임
- iOS, iPadOS, Mac OS 26 등 최신 운영체제는 직관성, 발굴성, 사용성 등에서 미흡함
- 뛰어난 하드웨어 위에 올라가는 소프트웨어의 품질이 부족해지면 애플 플랫폼의 핵심가치가 훼손되는 위험성 있음
- 잡스가 강조했던 소프트웨어 우위의 중요성이 퇴색하고, HW-SW 통합이라는 애플의 본질적 강점이 훼손될 위험이 큼
- 맹목적 팬덤 의존은 한계가 있으며, 지금의 애플은 더 나은 소프트웨어를 만드는 회사로 거듭나야 함
- '충분히 괜찮은' 수준의 소프트웨어에 머무르는 현재 방향성은 장기적으로 애플에 위험요소임
-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사이의 격차가 계속 확대되면, 애플의 차별화된 경쟁력이 상실될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