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 Liquid Glass 효과를 웹 콘텐츠에 추가하는 비공개 CSS 속성 도입

1 day ago 2

  • 애플이 iOS 26에서 사용할 수 있는 비공개 CSS 속성 -apple-visual-effect 를 추가
  • 이 속성은 Liquid Glass와 표준 blur 소재와 같은 새로운 디자인 효과를 웹 콘텐츠에도 적용할 수 있게 함
  • 해당 기능은 Safari 브라우저나 WKWebView에서 기본적으로 활성화되어 있지 않음
  • WKWebView에서 사용하려면 useSystemAppearance 라는 비공개 설정을 켜야 하는데, 이를 변경하면 App Store 승인이 어려워짐
  • 이 기능은 주로 Apple 내부에서 자체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보이며, 일반 개발자들은 당장 활용할 수 없음

개요

  • 저자는 WebKit의 GitHub ChangeLog를 취미로 자주 들여다보며 iOS의 차기 업데이트를 예측함
  • 최근 WWDC 직후 WebKit에 “[Materials] Rename 'hosted blur' materials to reference 'glass'”라는 Pull Request가 올라온 것을 발견함
  • 2025년 WWDC에서 강조된 Liquid Glass는 iOS 7 이후 가장 큰 사용자인터페이스(UI) 변경점임
  • 기존에는 네이티브 UI에만 적용되는 디자인 변화였으나, 이번 PR에서 웹 뷰와의 연관성을 암시함

Apple의 비공개 CSS 속성

  • PR에서 Apple이 -apple-visual-effect라는 비공개 CSS 속성을 도입했음이 드러남
  • 이 속성을 통해 iOS 26에서는 Liquid Glass 효과(예: -apple-system-glass-material) 적용이 가능함
  • 모든 버전에서 표준 blur 소재(-apple-system-blur-material-thin 등) 사용하는 것도 가능함
  • 공식 디자인 가이드에도 이러한 소재들이 언급되어 있음

실제 적용 가능성

  • Safari에서 CSS를 편집해 적용해 보려 해도, 웹에서는 동작하지 않음
  • WKWebView 기반 앱에서도 기본적으로 비활성화됨
  • WKPreferences의 useSystemAppearance 값을 true로 변경해야 동작하지만, 이 설정 자체가 비공개여서 공식 경로로는 활용 불가능함
  • 비공식적으로 해킹하여 값을 활성화 후 아래와 같은 CSS를 적용하면 효과를 볼 수 있음 .toolbar { border-radius: 50%; -apple-visual-effect: -apple-system-glass-material; height: 75px; width: 450px; }

CSS 예시 및 조건부 적용

  • Apple이 이 효과를 CSS 속성으로 만들어, 지원 여부에 따라 다양한 규칙을 간단히 지정할 수 있도록 함

  • 예를 들어 @supports쿼리를 사용해, 지원 기기에서만 -apple-visual-effect 적용 가능

    .toolbar { border-radius: 50%; height: 75px; width: 450px; background: rgba(204, 204, 204, 0.7); } @supports (-apple-visual-effect: -apple-system-glass-material) { background: transparent; -apple-visual-effect: -apple-system-glass-material }

의미와 한계점

  • Apple 내부를 제외하면 일반 개발자가 쓸 수 없는 기능
  • 하지만 이를 통해 "왜 앱 내 webview가 종종 좋지 않은 평판을 얻는지"에 대한 힌트를 얻을 수 있음
  • Seamless하게 잘 통합된 webview는 사용자가 존재 자체를 인식하지 못해, 문제가 드러날 일이 적음
  • Apple이 이를 개발했다는 것은 자사 서비스나 앱에서 실제 활용 중임을 간접적으로 시사
  • 일상 속에서 알게 모르게 webview 기반 UI를 경험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음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