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파벳에서 가장 기이한 글자: 요흐의 흥망성쇠

1 month ago 10

  • 영어 철자의 복잡성은 다양한 음을 여러 방식으로 표기하는 특성에서 기인함
  • 중세 영어의 ‘요흐(ȝ)’ 는 두 가지 매우 다른 소리를 나타내는 독특한 문자로, 현대 영어 철자 혼란의 원인 중 하나임
  • 노르만 정복과 라틴 문자 도입, 스크라이브 전통 변화가 철자 체계에 중대한 영향을 미침
  • 프린팅 프레스의 도입과 비용 효율성 문제로 인해 요흐는 영국에서는 사라졌으나, 스코틀랜드에서는 한동안 유지됨
  • 요흐의 잔재가 스코틀랜드 성씨의 z표기 등에서 볼 수 있음

영어 철자의 복잡성과 요흐의 등장

  • 영어 철자는 묵음, 동일 음의 다양한 표기, 한 글자의 여러 소리 등으로 복잡성 형성
  • Old English에서는 Carolingian 'g' 외에 Insular 'g'(ᵹ) 를 사용하였음
  • 'ᵹ'는 현대 'g'와 달리 z와 3을 섞은 형태로 표기됨
  • 노르만 정복 이후 라틴 문자 기반 Carolingian 'g' 사용이 라틴어에서 확대됨
  • 이후 영어 쓰기 전통이 단절되어, 기존 방식 대신 새로운 표기 체계가 필요해짐

요흐(ȝ)의 성립과 용법

  • 요흐(ȝ)는 Insular 'g'(ᵹ)의 변형이자, Carolingian 'g'와는 전혀 다른 문자로 여겨짐
  • 중세 영어에서 요흐는 y-소리(young, yesterday 등)와, 현대 영어에 없는 gh-소리를 모두 표기함
    • 이 gh-소리는 현대 독일어나 스코틀랜드어의 후두음과 유사함
    • 현재 ‘gh’로 남아있는 laugh, night, daughter 등은 원래 'ȝ'로 쓰였음
  • 즉, 같은 글자가 전혀 다른 두 가지 발음을 나타낸 혼란적 구조를 가짐

설음 변화와 영어 철자 혼란의 기원

  • 현대 영어에서도 ‘g’, ‘c’는 두 가지 소리를 나타내는 등 yoh와 유사한 구조가 지속됨
  • 이는 palatalization(구개화) 라는 음운 변화 때문임
    • 어말이나 앞모음 뒤에서 g, k음이 y, j음으로 전이됨
  • 이로 인해 Old English에서도 ‘ᵹ’를 y-소리, g-소리, gh-소리 등 세 가지 발음에 쓰였음
  • 노르만 스크라이브들은 y-소리를 따로 표기할 필요에서 yogh(ȝ)을 재도입

요흐의 몰락과 인쇄술의 영향

  • Middle English에서는 같은 철자가 여러 소리를 나타내 혼란이 컸음
  • 그러나 요흐는 ‘y’, ‘gh’, ‘h’, ‘ȝh’ 등 다양한 철자와 대체 가능했음
  • 인쇄술 도입 후, 영국 인쇄사들은 고유문자 요흐의 활자를 제작하지 않아 급격히 사라짐
  • 스코틀랜드에서는 lȝ, nȝ 구조로 한동안 잔존, 특히 z와의 시각적 유사성으로 'z'로 치환됨

스코틀랜드 성씨와 요흐의 유산

  • 이로 인해 Menzies, Mackenzie 등 스코틀랜드 성씨에 z 표기 현상이 남음
    • 본래는 mingus, mackenyie에 가까운 발음이었음
  • 요흐가 알파벳에서 역사적으로 y, gh, z 등 다양한 소리로 변화하여 현대에도 그 흔적을 남김
  • 요흐 역사 추적은 영어 철자의 혼란의 한 단면임

결론

  • 요흐의 여정은 Carolingian 필사 전통, 노르만 영향, 스코틀랜드 타협 등 역사 속 다양한 변화 상징
  • 요흐 글자는 사라졌으나, 철자 및 발음 혼란의 단서로서 학문적 가치를 보임
  • 본문에서는 요흐를 향한 애착보다는, 더 잃어버린 알파벳 문자들에 대한 연민이 크다는 소회를 전함
  • 현재도 일부 폰트에 요흐(ȝ)가 포함되어 있어, 원한다면 직접 활용 가능함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