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감염이 심근경색을 촉발할 수 있음 바이러스 감염 또는 외부 트리거 요인에 의해 바이오필름이 활성화될 수 있음 연구 책임자 Pekka Karhunen 교수에 따르면, 과거에는 산화된 저밀도 지단백(LDL) 만이 관상동맥질환의 원인으로 간주되어 왔음 이번 관찰 결과는 심근경색에 대한 새로운 진단 및 치료 전략 개발의 가능성을 보여줌
심근경색과 감염의 새로운 연관성
첨단 분석 기법을 활용한 결과, 관상동맥질환 환자의 동맥경화성 플라크 내부에 수년, 혹은 수십 년 간 박테리아에 의해 형성된 겔状의 무증상 바이오필름이 존재함을 발견함
휴면 상태의 박테리아는 바이오필름 매트릭스 덕분에 면역체계 및 항생제의 공격을 피할 수 있음바이오필름 활성화와 질환 유발
이로 인해 박테리아 증식이 일어나고, 염증 반응이 유발됨
염증은 플라크의 섬유 덮개를 파열시켜, 혈전 형성 및 결과적으로 심근경색을 야기함박테리아의 역할 입증
박테리아 개입에 대한 의심은 꾸준히 제기되었으나 명확한 증거는 부족했음
이번 연구에서는 여러 구강 박테리아의 DNA가 동맥경화 플라크 내부에서 발견되었음
발견된 박테리아를 타깃으로 하는 항체를 개발하여, 동맥 조직 내 바이오필름 구조를 확인함
심근경색 환자에서는 바이오필름에서 유리된 박테리아가 관찰되었으며, 이에 대한 면역 반응이 콜레스테롤 플라크 파열을 유발하는 것으로 확인됨임상적 함의 및 연구 개요
예방 차원에서 백신 개발 가능성도 진전되고 있음
연구는 Tampere 대학, Oulu 대학, 핀란드 건강 복지 연구소, 옥스퍼드 대학 등이 참여함
조직 샘플은, 급성 심장사로 사망한 개인 및 죽상동맥경화로 경동맥/말초동맥 세정 수술을 받은 환자에서 수집함
해당 연구는 11개국이 참여한 EU 기반 심혈관 프로젝트의 일부이며, 핀란드 심혈관 연구재단과 Jane and Aatos Erkko 재단의 지원을 받음추가 정보

1 month ago
16







![닷컴 버블의 교훈[김학균의 투자레슨]](https://www.edaily.co.kr/profile_edaily_512.png)

English (U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