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lack이 비영리 단체 Hack Club에 연간 19만5천 달러의 요금 인상을 통보함
- 사전 고지도 거의 없이 몇 일 내에 결제하지 않으면 워크스페이스 비활성화와 메시지 기록 삭제 위협을 받음
- Hack Club은 11년간 Slack을 사용해 왔고 이전까지 연 5천 달러 요금에 만족해왔음
- 갑작스러운 변화로 시스템 이전과 데이터 마이그레이션 등 큰 혼란과 비용이 발생함
- 이번 일을 계기로 외부 SaaS에 의존하지 않고 데이터 소유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커짐
좋은 결말
- 이 글이 Hacker News와 Twitter/X에서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음
- 몇 시간 전 Slack CEO가 연락해 이전보다 더 좋은 조건의 해결책을 제시함
- 많은 이들의 관심과 지원 덕분에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음에 깊은 감사를 표함
- 그러나 이번 사건을 계기로 외부 SaaS에 데이터를 맡기는 것에 대해 더욱 신중히 생각하게 되었음
- 앞으로는 데이터 소유권 확보를 최우선 과제로 두겠다고 강조함
사건의 개요
- Hack Club은 11년 동안 전 세계 10대 청소년을 위한 코딩 교육 및 커뮤니티를 제공하며 Slack을 주된 커뮤니케이션 도구로 사용해왔음
- 무료 비영리 플랜에서 연간 5천 달러 유료 플랜으로 전환될 때도 별 문제 없이 비용을 지불해 왔음
- 그러나 최근 Slack이 일방적으로 연락해, 이번 주 내로 추가 5만 달러를 납부하고 향후 연 20만 달러를 지불하지 않을 경우 워크스페이스를 비활성화하고 모든 메시지 기록을 삭제하겠다고 통보함
- Salesforce 같은 2300억 달러 규모 기업이 소규모 비영리 단체를 상대로 단 며칠 만에 대규모 요금 인상을 강요하는 것은 부당함
- 최소 6개월의 유예 기간이 제공되어야 한다는 입장임
영향 및 대응
- 짧은 통보로 인해 Hack Club의 다양한 프로그램 운영에 심각한 차질이 빚어졌음
- 수십 명의 직원과 자원봉사자가 시스템 업데이트, 인티그레이션 재구축, 다년간 쌓인 지식의 마이그레이션 등 문제 해결에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음
- 강제적인 이전 결정으로 기회비용이 상당히 크다는 점을 강조함
대안적 선택과 조언
- Hack Club은 Mattermost로의 이전을 결정함
- 이번 경험을 통해 데이터 소유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인식하였으며, 특히 소규모 기업에는 비슷한 위험을 경계해야 함을 조언함
기타 사항
- 해당 글은 급하게 작성한 내용임
- 추가적인 세부 정보가 필요한 경우 이메일로 문의를 권장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