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개국 38개 도시 55개 기관 참가…25일까지 한국문화 체험 등 진행
이미지 확대
(평창=연합뉴스) 2025 세계올림픽도시연맹 총회(WUOC General Assembly)가 22일 평창에서 개막한 가운데 평창의 대표적 문화유산이자 올림픽 유산 장소인 오대산 월정사에서 청사초롱 행렬이 참가단들을 맞이하고, 승무 공연과 탑돌이 등 한국의 전통과 불교문화를 선보이며 세계 각국에서 온 손님들을 환영했다. 2025.10.22 [평창군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limbo@yna.co.kr
(평창=연합뉴스) 임보연 기자 = 올림픽 개최도시 간의 경험과 역량 교환 및 지속 가능한 성장을 도모하는 2025 세계올림픽도시연맹 총회(WUOC General Assembly)가 22일 평창에서 막을 올렸다.
2018 평창동계올림픽 및 2024 강원동계청소년올림픽 성공 개최를 통해 국제행사 인프라를 구축한 평창에서 국제올림픽위원회(IOC) 및 올림픽 도시 대표단이 25일까지 평창올림픽 유산 사업과 시설 운영 현장을 둘러보고 올림픽 유산의 미래를 논의한다.
전·현 올림픽 개최 도시의 시장, 올림픽레거시 기관, 스포츠 전문가 등 25개국 38개 도시 55개 기관 등에서 200여명이 참가했다.
총회는 올림픽 유산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며 아시아 동계스포츠 발전에 이바지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자리로, 올림픽도시 간 지식 교류와 협력체계 강화를 도모한다.
총회 첫 일정은 평창의 대표적 문화유산이자 올림픽 유산 장소인 오대산 월정사에서 시작했다.
월정사는 평창 2018 동계올림픽 집행위원회 만찬과 강원 2024 동계청소년올림픽 조직위원회 환영 만찬이 열렸던 장소다.
단풍이 절정을 이룬 천년고찰에서 청사초롱 행렬이 참가단들을 맞이하고, 승무 공연과 탑돌이 등 한국의 전통과 불교문화를 선보이며 세계 각국에서 온 손님들을 환영했다.
심재국 평창군수는 평창돔에서 열린 환영 만찬에서 "2018 올림픽 당시 선수들에게 맛있는 음식이 제공됐던 장소에서 손님들을 맞이하게 되어 영광"이라며 "이번 총회에서 2018년의 감동을 다시 느끼고 2024년의 젊은 열정을 함께 기억해 달라"고 말했다.
이미지 확대
(평창=연합뉴스) 2025 세계올림픽도시연맹 총회(WUOC General Assembly)가 22일 평창에서 개막한 가운데 평창의 대표적 문화유산이자 올림픽 유산 장소인 오대산 월정사에서 청사초롱 행렬이 참가단들을 맞이하고, 승무 공연과 탑돌이 등 한국의 전통과 불교문화를 선보이며 세계 각국에서 온 손님들을 환영했다. 2025.10.22 [평창군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limbo@yna.co.kr
총회 이틀째인 23일에는 올림픽레거시 포럼을 열고 올림픽 유산 홍보와 기념 활성화, 지속적인 레거시, 환경적 회복력 구축 방안 등을 논의한다.
또 세계올림픽도시연맹 총회에서는 도시연맹 집행위원 선거를 통해 5명의 신임 위원을 선출한다.
이어 IBSF(국제봅슬레이스켈레톤연맹) 아카데미 개소식, 올림픽 도시 숲 조성(ESG 기념식수) 행사를 통해 동계올림픽 레거시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평창올림픽플라자광장에서는 주민들의 올림픽로드 프리마켓과 한복체험존, 동계스포츠체험존, 먹거리장터 등을 운영하며 평창 유산사업의 활성화한 모습을 보여준다.
특히 이날 저녁 갈라디너에서는 평창올림픽 당시 IOC 총회와 IOC위원장 만찬이 열렸던 장소에서 화려하고 뜻깊은 올림픽도시 네트워크의 장을 마련해 2018년생(2018둥이) 18명(남9·여9)이 '고향의봄'과 'I have a dream'을 부르고, 한복의 미를 소개하는 공연을 펼친다.
24일에는 평창올림픽기념관, 스키점프센터, 슬라이딩센터, 강릉올림픽기념관, 아이스아레나, 오발, 하키센터, 컬링센터 등 2028 평창동계올림픽 설상·빙상시설 투어를 진행한다.
이어 25일 통일전망대, DMZ 박물관 등 DMZ 투어를 통해 평창의 평화올림픽 유산을 상기시키며 분단국가의 아픔을 함께 공유하고 총회 일정을 마무리한다.
평창군은 이번 총회를 통해 올림픽 유산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며 아시아 동계스포츠 발전에 이바지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한편 올림픽도시 간 지식 교류와 협력체계 강화를 도모한다는 방침이다.
또 월정사, 평창돔, 평창올림픽기념관, 평창올림픽플라자, 설상·빙상 경기장 등 평창 곳곳을 탐방함으로써 '올림픽도시 평창'의 위상을 각인시킨다는 계획이다.
특히 향후 전지훈련 및 국제대회 유치로 이어지는 협력 기반을 마련해 평창이 아시아 동계스포츠 허브 도시로 자리매김하는 계기를 마련한다는 전략이다.
세계올림픽도시연맹은 2002년 12월 올림픽 도시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도모하고자 창립돼 50개 도시, 19개 제휴 기관이 참여하고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서울과 강릉, 평창, 정선이 정회원이며, 2018평창기념재단과 국민체육진흥공단이 제휴 기관으로 가입해 있다.
이미지 확대
[2018평창기념재단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limbo@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2025년10월22일 19시01분 송고


















English (U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