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교통·주거 등 데이터 분석 기반 행정 본격화

12 hours ago 2
서울 연령대별 보행일상권 공급·수요 현황 데이터 예시. 서울시 제공서울 연령대별 보행일상권 공급·수요 현황 데이터 예시. 서울시 제공

서울시가 정책 수립 초기단계부터 빅데이터 분석으로 정책 효과를 예측하는 행정 모델을 본격 가동한다.

올해 도시공간, 교통, 주거·복지, 경제·상권, 문화·관광 등 5대 분야 핵심 시정 사업을 분석해 일방적 정책 설계가 아닌 생활 밀착형 맞춤 정책을 예측·검증·추진하는 '데이터 행정 시대'로 전환한다.

서울시는 데이터 분석으로 공공 인프라 입지 선정, 교통 소외 해소, 주택 수급 안정, 시장 활성화, 관광객 유입 등 시민의 삶과 직결된 문제에 데이터를 적용해 보다 과학적이고 실증적 정책 설계 체계를 구축한다.

경전철 도입 효과를 예측하고 정비사업, 저출생 해법에도 데이터 분석을 활용한다. 신용카드 결제, 방문객 유입 데이터로 전통시장 이벤트 실질적 매출 효과를 검증하고 지역 맞춤형 상권 활성화 전략도 마련한다. '더 오래 머무르고 다시 찾고 싶은 고품격 매력도시' 서울도 체계화한다.

시는 공공 기반 데이터 외에도 통신 기록, 카드 소비 내역, 생활 인구, 관광 흐름 등 민간 데이터를 포함한 16종의 민·관 융합데이터를 활용하고 있다.

연내 분석모델을 고도화하고 내년부터 실무에 적용할 계획이다. 아울러 '빅데이터 서비스 플랫폼'에 해당 모델을 탑재, 자치구에서 직접 활용하도록 지원한다.

강옥현 서울시 디지털도시국장은 “서울은 데이터로 시민 삶을 예측하고 설계하는 도시로 진화하고 있다”며 “실효성 높은 정책 결정을 위해 데이터 행정을 지속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박종진 기자 truth@etnews.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