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사기 위험분석 보고서 제공 화면서울시가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임차인이 계약 전 주택과 집주인의 위험 요인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전세사기 위험분석 보고서' 서비스를 24일부터 시작한다.
이번 서비스는 서울 지역 임대차계약 예정자 1000명을 대상으로 무료 제공되며, 계약을 고려 중인 주택의 주소를 입력하면 AI가 수집·분석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위험 요인을 진단해준다.
시는 전세사기에 가담한 임대인 약 1500명의 데이터를 분석해 일반 임대인과 구별되는 11가지 공통 위험 신호를 도출했다. 주요 항목은 △KCB 신용점수 △채무불이행 여부 △금융질서문란정보 △신용불량기록 △부도·개인회생 여부 △세금 체납 △연체·사기 이력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등이다. 단, 집주인 관련 정보는 본인의 신용정보 제공 동의가 있을 경우에만 확인할 수 있다.
서비스 이용은 '서울주거포털(housing.seoul.go.kr)' 또는 '청년몽땅정보통(youth.seoul.go.kr)' 내 '전세사기 위험분석' 배너를 통해 민간 부동산 리스크 분석 플랫폼 '내집스캔'에 접속한 뒤, 서울시 제공 쿠폰을 발급받아 이용하면 된다.
최진석 서울시 주택실장은 “AI와 빅데이터 기반의 전세사기 위험분석 보고서는 계약 전 단계에서 위험 요소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안전장치”라며 “임차인 권리 보호와 피해 예방을 위해 행정서비스를 강화하고 제도 개선을 지속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김명희 기자 noprint@etnews.com

2 weeks ago
7

















English (U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