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해운산업 중흥 위해서라도 HMM 민영화 속도 내야

5 hours ago 1

입력2025.09.05 17:39 수정2025.09.05 17:39 지면A23

포스코그룹이 유일한 원양 국적선사인 HMM 인수를 추진한다는 소식이다. 본업인 철강에 이어 2차전지 소재 사업도 주춤하자 기존 사업과 시너지를 낼 수 있는 해운업을 그룹의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삼겠다는 승부수다. 포스코는 수개월 전부터 삼일PwC, 보스턴컨설팅그룹 등 자문단을 꾸려 인수 준비를 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HMM의 민영화가 거론될 때마다 1순위 인수 후보로 꼽혀온 포스코다. 자금 여력이 충분하고 글로벌 확장성도 뛰어나 HMM을 머스크, MSC 등 글로벌 해운사들과 경쟁할 초대형 민간 국적선사로 키울 수 있다는 평가다.

2016년 HMM의 전신인 현대상선이 해운업 부진으로 재무 위기를 겪자 정부는 산업은행과 한국해양진흥공사를 통해 대규모 공적자금을 투입했다. 산은(36.02%)과 해진공(35.67%)이 대주주가 되면서 정부가 9년 넘게 HMM을 통제 아래 둔 만큼 이제는 민영화 작업에 속도를 낼 때가 됐다. HMM은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해상 운임 급등으로 기업 덩치가 커지면서 ‘새 주인 찾기’가 오히려 더 늦어졌다. 인공지능(AI) 등 첨단산업을 지원해야 하는 산은 입장에서도 HMM 지분 매각을 통한 새로운 재원 마련이 시급하다.

다만, HMM 매각은 투명하고 공정한 절차를 거쳐 진행돼야 한다. 현재 인수 후보로는 포스코 외에 HD현대그룹, 한진그룹과 지난해 우선협상대상자였던 하림그룹 등도 거론되고 있다. 큰손 화주인 포스코의 해운업 진출에 따른 기존 업계의 반발도 원만하게 조정해야 할 과제다. 포스코는 국내 해운 물동량의 10% 이상을 차지하는 초대형 고객으로 연간 물류비용만 3조원을 쓰고 있다.

포스코든 다른 기업이든 HMM에 제대로 된 ‘진짜 주인’을 찾아주는 게 정부의 역할이다. 공적자금 회수 이상으로 중요한 조건은 한진해운 파산 이후 쪼그라든 우리 해운산업을 제대로 이끌고 발전시킬 수 있는 기업이어야 한다는 점이다. 해운업은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육성해 나가야 할 국가기간산업이기 때문이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