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정보기술(IT) 기업이 인공지능(AI) 도구를 사내에 공격적으로 배포하고 있다. 과거 개발자 등 일부 직군 위주로 활용되던 AI를 전사적으로 확산시키려는 움직임이다.
7일 업계에 따르면 토스는 직원들이 AI를 심화 업무에 활용할 수 있도록 ‘LLM 공작소’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특정 팀이 AI를 활용해 해결하려는 과제를 발굴하면 사내 대규모언어모델(LLM) 전문가가 팀에 붙어 적용 가능 사례를 제안하고 구체적인 구현 방식까지 설계하는 방식이다. 직원들이 AI를 실제 비즈니스 성과로 연결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도록 지원하는 취지라는 게 회사 설명이다.
토스의 모든 직원은 챗GPT 유료 계정을 이용할 수 있다. 별도로 유료 계정을 구매하지 않아도 업무용 이메일로 로그인만 하면 챗GPT 계정을 쓸 수 있는 시스템을 최근 도입했다. 토스 관계자는 “AI 퍼스트 조직으로 나아가는 전환점”이라고 강조했다.
카카오는 올해 해커톤에서 AI 기반 개발 방식인 ‘바이브 코딩’을 도입했다. 개발자뿐 아니라 기획, 디자인, 비즈니스 등 다양한 직군이 해커톤에 참가했다. 해커톤 심사 과정에도 AI가 참여했다. 정규돈 카카오 최고기술책임자(CTO)는 “AI 도구를 동료 삼아 누구나 자신의 아이디어를 최종 제품으로 구현해보는 경험을 제공하고자 해커톤을 기획했다”고 말했다.
카카오는 AI 개발 도구를 직접 사용할 수 있는 AI 마일리지 프로그램도 운영 중이다. 매달 AI 도구를 사용할 수 있는 지원금이 개발자에게 마일리지 형태로 제공된다. 커서, 깃허브 코파일럿, 클로드 코드 등 다양한 종류의 개발 도구를 조합해 사용해볼 수 있다.
네이버도 최근 개발자를 포함한 직원들에게 AI 개발 툴인 커서 체험판 서비스를 배포했다. 기획자 등 비개발 직군이 커서를 활용하면 직군 간 장벽이 허물어지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IT업계 관계자는 “기획자가 직접 코딩 도구로 제품 프로토타입을 만들어 엔지니어와 소통하는 등 AI 활용 분야가 확대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고은이 기자 koko@hankyung.com